티파티카지노

직장인 10명 중 4명 "직장 괴롭힘 당했다"…신고는 고작 10%

비정규직·비사무직·작은 직장일수록 경험 비율 높아
기상캐스터 오요안나 사건으로 주목…경찰 내사 착수

ⓒ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서울=뉴스1) 김종훈 기자 = 직장인 10명 중 4명은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괴롭힘 수준이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직장인도 조사 대상 중 절반 이상이었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2일부터 11일까지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직장 내 괴롭힘 설문조사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지난 1년 동안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이들은 35.9%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 대비 5.4%p(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유형별로 보면 모욕·명예훼손 괴롭힘이 23.5%로 가장 많았고, 부당 지시(19.6%), 폭행·폭언(19.1%)이 그 뒤를 이었다.

응답자 특성별로 보면 비정규직(41.3%)이 정규직(32.3%)보다, 비사무직(39.4%)이 사무직(32.4%)보다 직장 내 괴롭힘을 더 많이 경험했다.

직장갑질119에 접수된 실제 사례를 보면, 계약직 직장인 A 씨는 직장 내 괴롭힘으로 지병이 악화해 병가를 썼더니 관리자로부터 "너 따위는 필요 없다"는 폭언을 들었다고 한다.

또 다른 직장인 B 씨는 "상사가 과도한 업무를 부여하는 것은 물론, 사적으로 특정 정치색을 강요한다"며 "모욕성 발언도 계속 이어지는데 언제까지 이렇게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털어놨다.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한 이들에게 '괴롭힘 심각 수준'을 묻자, 과반인 54.0%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 조사(46.6%)보다 7.4%p 증가한 수치다.

응답자 특성별로 보면 여성(57.5%)이 남성(51.0%)보다, 5인 미만 직장 재직자(67.4%)가 300인 이상 직장 재직자(49.2%)보다 심각한 괴롭힘에 노출됐다.

직장 내 괴롭힘을 겪었지만, 직장 또는 노동조합에 신고한 이들은 12.8%에 불과했다. '직장 내 괴롭힘을 당했을 때 대응 방식'을 묻자 응답자 51.3%는 '참거나 모르는 척했다'고 답했다. 응답자 23.7%는 아예 회사를 그만뒀다고 했다.

신고하지 않은 이들은 '대응해도 상황이 나아질 것 같지 않아서'(48.0%), '향후 인사 등에 불이익을 당할 것 같아서'(32.4%) 신고를 포기했다고 전했다.

최근 MBC 기상캐스터로 일한 오요안나 씨 사망으로 직장 내 괴롭힘 문제가 조명받고 있다.

오 씨는 사망 전 MBC 관계자 4명에게 직장 내 괴롭힘 피해를 알렸음에도 MBC는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마포경찰서는 지난 3일 오 씨 사건을 수사해달라는 국민신문고 민원을 접수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MBC 사장과 부서 책임자, 동료 기상캐스터 2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증거인멸교사, 스토킹 처벌법 위반 등 혐의로 입건 전 조사(내사)에 나섰다.

직장갑질119는 "조직문화가 후퇴하고 일터 민주주의가 훼손됐다고 의심할 수밖에 결과"라며 "이런 상황에서 고용 형태가 불안정하고 노동조건이 열악한 일터의 약자는 법과 제도의 보호망 밖에서 더 심각한 피해를 본다"고 지적했다.

이어 "직장 내 괴롭힘은 단순히 당사자 간의 갈등 문제가 아닌 일터의 안전 문제"라며 "법과 제도의 한계, 퇴행적 조직 문화, 불안정한 노동조건의 해소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제도 변화를 촉구했다.

archive@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