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선고' 전 마지막 주말될까…집회는 '총집결' 경찰은 '초긴장'
탄핵 찬반 합쳐 20만 집결…선고 앞두고 '세 대결'
경찰 "최악의 상황 가정"…인파 관리·헌재 경비 '총력'
- 김종훈 기자
(서울=뉴스1) 김종훈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이 선고만 남겨둔 가운데, 주말 서울 도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찬반을 외치는 집회가 잇달아 열리며 극한 대립이 이어지겠다.
이번 주 내로 탄핵 심판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전망이 많았지만, 헌재가 선고기일을 지난 14일까지 지정하지 않으면서 다음 주 선고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탄핵 찬반 집회에 더욱 많은 시민이 모일 것으로 예상된다.
경찰은 하루에도 수차례 회의를 열고 주말 집회 관리뿐 아니라 탄핵 심판 선고 당일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헌재 인근 경비 계획을 세우고 있다.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비상행동 등 탄핵 찬성단체는 15일 서울 종로구 사직로 일대에서 '대통령 탄핵 촉구 집회'를 개최하고, 이후 종로길을 이용해 비원 교차로까지 행진할 예정이다.
자유통일당 등 탄핵 반대 단체는 서울 종로구 광화문 동화면세점 인근에서 '자유통일을 위한 국민대회'를 연다.
여의도에선 탄핵 반대 단체인 세이브코리아가 의사당대로에서 '국가비상기도회' 개최와 행진을 예고해 도심과 여의도 곳곳에서 교통정체가 예상된다.
이들 집회 주최 측이 경찰에 신고한 참석 예정 인원을 합하면 20만 명이 넘는다. 다만, 신고 인원과 실제 참석 인원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지난 1일 3·1절에 경찰 비공식 추산, 광화문에 탄핵 반대 측 5만여 명, 탄핵 찬성 측 2만 1000여 명이 모였다. 여의도에는 탄핵 반대 5만 5000여 명이 집결했다. 탄핵 선고가 한발 가까워진 만큼 이번 주말 집회 규모는 이와 비슷하거나 더 커질 가능성도 있다.
경찰은 이날 주말 집회 인파 관리는 물론 다음 주로 예상되는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당일 모든 역량을 동원해 헌재와 시민 안전을 지킨다는 방침이다.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전날(14일) 오후 헌재 인근 시설물을 점검하며 "헌법재판소 침입 등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은 선고 전일부터 '을호비상' 등 전국에 비상근무를 발령하고, 선고 당일에는 전국 경찰관서에 '갑호비상'을 발령해 경찰력 100% 동원 태세를 갖춘다는 계획이다.
특히 경찰은 전국에 337개 기동대 2만여 명을 투입하고 기동순찰대·형사 등 가용 인력을 총동원해 안정적인 치안을 유지할 방침이다.
서울경찰청은 관련 회의를 하루에도 수차례 진행하며 헌재 경비계획을 세우고 있다. 경비의 최대 변수 중 하나로 꼽히는 윤 대통령의 헌재 출석 여부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난 8일 석방된 윤 대통령이 헌재에 모습을 드러내면 탄핵 찬반 양측이 흥분하며 집회가 격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노무현·박근혜 전 대통령은 선고기일에 헌재에 출석하지 않았지만, 경찰은 윤 대통령 출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이날 주말 집회로 인해 서울 도심에 큰 혼잡이 예상된다. 경찰은 집회와 행진 중에 차량 통행을 위해 가변 차로를 운영해 남북 및 동서 간 교통 소통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교통혼잡으로 인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집회·행진 구간 주변에 교통경찰 230여 명을 배치해 차량 우회 등 교통 소통 관리를 할 계획이다.
경찰 관계자는 "도심권 세종대로 및 사직로, 율곡로 등 집회 장소 일대에 교통정체가 예상된다"며 "가급적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부득이 차량을 이용할 경우 교통정보 등을 미리 확인하라"고 당부했다.
집회 시간과 장소 등 자세한 교통 상황은 서울경찰청 교통정보 안내 전화와 교통정보센터 홈페이지, 카카오톡(교통정보센터 내비게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archive@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