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총궐기 'D-Day'…"이젠 학생들 복귀해야" 의료계 안팎서 우려
의료계, '0명 증원'에도 대규모 집회 강행…의대생 7000여명 참여
의료계 "필수의료 패키지 백지화해야"…정부 관계자 문책 요구도
- 김규빈 기자
(서울=뉴스1) 김규빈 기자 = 정부가 내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0명 증원'으로 확정했음에도 의료계의 강경한 투쟁 기조는 꺾이지 않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의협)가 20일 예정대로 대규모 궐기대회를 열고 의대생들 역시 수업 거부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고수하자, 의료계 일부와 환자단체는 조속히 수업에 복귀해야 한다며 확전을 우려하는 목소리를 냈다.
20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협은 이날 서울 중구 숭례문 일대에서 '대한민국 의료 정상화를 위한 총궐기대회'를 개최한다. 집회에는 의협 회원은 물론 의대생, 전공의 등이 대거 참여해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등 정부의 의료개혁안을 전면 백지화할 것을 촉구할 예정이다.
의대생들도 단체관광버스를 대절해 집회에 참석할 예정이다. 의료계에 따르면 이번 궐기대회에 참여할 것으로 추산되는 의대생은 약 6000~7000명에 달한다.
일부 의대생은 궐기대회 이후에도 학교에 복귀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지난 16일 열린 3개 의과대학 합동 간담회에서는 궐기대회 이후의 투쟁 계획을 공유하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학생들은 "휴학, 미등록, 미복학은 협상장을 빠르게 열고 협상력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였다" "전국 의대생 모두가 한자리에 모여 지난해와 동일하게 같은 목소리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등의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 정원 확대 철회를 위해 사직서 제출과 집단 휴진 등을 단행한 의대 교수들은 새 정부와의 대화를 촉구하고 나설 예정이다. 오승원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가정의학과 교수는 "객관적인 근거와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고, 사회적 합의를 위한 충분한 논의를 거쳐야 할 것"이라며 "윤석열 정부의 의료개혁 정책은 이러한 절차가 부족한 상태였고, 지난 1년간은 사전에 거쳐야 할 사회적 논의를 하느라 혼란을 야기한 측면이 크다"고 밝혔다.
정부가 한발 물러섰음에도 의료계가 강공을 이어가자 의료계 내부와 환자단체들에선 반대 목소리가 나온다.
서울시의사회는 지난 18일 입장문을 통해 "학생들이 의학 교육 현장으로 복귀해 국민을 위한 의사로 성장해야 한다"며 "정부와 대학, 의료계가 함께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정부는 의사를 이길 수 없다는 의료계의 주장이 사실임을 확인했다"고 토로했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도 "교육부의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 원점 조정은 대국민 사기극"이라며 "교육부의 의대 정원 원점 조정으로 그간 중증 질환자들이 참고 견딘 고통이 물거품이 됐다"고 지적했다.
rnkim@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