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직격탄 동남아 "무조건 협상할 것"…베트남은 TF 구성
동남아 6개국에 상호관세 30~40% 대
캄보디아·미얀마는 협상 카드조차 없어
- 김예슬 기자
(서울=뉴스1) 김예슬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로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된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보복' 대신 '대화'에 나설 방침이다. 다만 40%대의 고관세율이 매겨진 미얀마와 캄보디아는 미국과의 대화조차 쉽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예고했던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모든 무역 상대국에는 기본 10% 관세를 부과하되 약 60개국의 주요 무역국에는 이보다 높은 최대 50%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이다. 한국은 25%로, 57개국 가운데 35번째로 높다.
개별 세율을 보면 아프리카 남부에 있는 레소토가 50%로 가장 높다. 이어 캄보디아(49%), 라오스(48%), 마다가스카르(47%), 베트남(46%), 미얀마(45%), 스리랑카(44%)의 순이다. 그 외에 태국은 37%, 중국은 34%, 인도네시아 32%, 대만 32%, 파키스탄 30%, 인도 27%, 일본 24%, 유럽연합(EU) 20% 등이다.
주로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미얀마 등 동남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 국가들에 가혹한 관세가 매겨졌다. 저렴한 인건비를 기반으로 글로벌 기업들의 대미 수출기지 역할을 하는 데 대한 공격으로 보인다.
동남아 국가들은 당황스럽다는 반응과 함께 대화로 관세율을 낮추겠다는 입장이다. 지금까지 동남아시아 국가 중 어느 나라도 보복 관세를 언급하지 않았다.
우선 팜민찐 베트남 총리는 이날 새벽 긴급 내각 회의를 마친 뒤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라고 지시했다.
베트남의 국제 로펌 루터의 대표인 라이프 슈나이더는 로이터에 "베트남의 수출 주도 성장 모델은 다국적 기업을 유치하며 매우 성공적이었다"며 "그러나 미국의 46% 관세는 이 모델에 직접적인 도전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베트남의 지난해 대(對)미 수출액은 1420억 달러(약 207조 원)로, 국내총생산(GPD)의 약 30%에 달한다. 또 베트남에는 나이키, 인텔, 애플 등 유명 미국 기업들의 공장도 다수 포진돼 있다.
베트남은 미국에서 추방된 베트남 시민을 받아들이는 협정에 동의하는 등 미국의 관세 위협을 협상을 통해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베트남에 있는 미국 상공회의소의 아담 시트코프 전무이사는 "새로운 관세의 영향을 줄이거나 완화하는 방법에 대한 협상이 계속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관세율 37%를 적용하게 된 태국도 세율을 낮추기 위해 대화에 나선다. 태국에는 당초 11% 세율이 적용될 것으로 관측됐다.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우리는 협상하고, 세부 사항을 파악해야 한다"고 밝혔다.
피차이 나립타판 태국 상무부 장관은 태국 정부가 협상에 준비돼 있으며, 양국 간 대화가 잘 진행되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관세율 24%의 말레이시아도 보복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 없다고 발표했다. 말레이시아 무역부는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의 정신을 유지할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미국 당국과 적극적으로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작 49%라는 가장 높은 관세율이 매겨진 캄보디아와 44%의 미얀마는 협상에 사용할 마땅한 카드가 없다는 평가가 이어진다.
캄보디아의 집권당인 인민당 속 에이산 대변인은 "약소국을 학대하지 말아달라"고 호소했다.
익명을 요구한 캄보디아의 한 투자 컨설턴트는 로이터에 "경제에 매우,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며 "캄보디아가 협상 도구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협상의) 매우 긴 줄 뒤에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비영리 독립 매체 더 컨버세이션도 "취약한 국가들은 반격할 레버리지가 없을 수 있다"며 "자원의 불균형을 감안할 때 캄보디아나 미얀마가 미국에 대해 어떤 레버리지를 가질 수 있을지 상상하기 어렵다"고 짚었다.
yeseul@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