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파키스탄' 트럼프 개입 시도…"전면적 충돌은 회피 기류"
"인도, 파키스탄 군사시설은 공격 안해…대화 열어둬"
"파키스탄 선택 미지수이나 트럼프 압박 먹힐 가능성"
- 김예슬 기자
(서울=뉴스1) 김예슬 기자 = 핵보유국인 인도와 파키스탄이 6년 만에 무력 충돌했으나, 전면적 대립을 피하기 위해 입장을 미세하게 조정하며 여파 억제에 주력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인도-파키스탄 충돌 사태를 전하며 "국경을 넘는 포격 등 폭력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양국은 갈등이 악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움직임을 조정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추가적인 갈등 확대를 피하라고 촉구함에 따라 양측은 신중한 접근 방식을 취하려고 노력했다"고 덧붙였다.
핵무기를 보유한 인도와 파키스탄은 서로 미사일 폭격과 보복 공격을 실시하며 6년 만에 군사적으로 충돌했다.
인도가 지난달 카슈미르에서 26명의 사망자를 낳은 무장 세력의 공격 배후로 파키스탄을 비난한 이후 카슈미르 국경통제선 인근에서 교전이 벌어지다가 본격적인 공격이 오간 것이다.
파키스탄군은 인도의 공격으로 민간인 31명이 사망하고 45명이 다쳤다고 주장했고, 인도 경찰은 파키스탄의 공습으로 15명이 숨지고 48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밝혔다.
핵보유국인 양국의 군사적 충돌에 국제사회는 자제를 촉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양국이 서로 보복을 반복해 왔기 때문에 이제 멈출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내가 도움이 될 수 있다면 돕겠다"고 중재 역할을 제안했다.
전문가들은 파키스탄의 행동은 예측하기 어렵지만, 우선 인도는 파키스탄의 군사시설을 공격 대상으로 삼지는 않으면서 파키스탄과 대화 창구를 열어뒀다고 평가했다.
킹스 칼리지 인도 연구소 방문 교수 하쉬 팬트는 "인도는 긴장이 고조되는 것의 어려움을 알고 있고, 이는 파키스탄에 움직일 여지를 준다"며 "파키스탄이 이를 받아들일지 말지는 그들의 선택"이라고 말했다.
파키스탄 역시 무력 충돌 확대가 쉽지는 않다. 강력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파키스탄 군대는 인도와의 갈등으로 자국 내 입지를 강화하려 할 수 있으나, 파키스탄이 경제·정치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군대가 무리하게 나서기는 힘들다.
트럼프 행정부의 개입도 가능한 상황이다. 앞서 트럼프 1기 당시인 2018년 파키스탄이 아프가니스탄 내 탈레반 세력에 은신처를 제공한다며 파키스탄에 대한 군사 원조 중단을 선언했다. 그러나 이듬해 임란 칸 당시 총리를 백악관으로 초청하며 관계 개선을 시도했다.
탈레반이 아프간에서 재집권하며 파키스탄과 미국의 전략적 파트너십은 약화했으나, 트럼프 2기의 분위기는 다르다는 전언이 나온다.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남아시아 및 중앙아시아 국가안보위원회에서 일했던 리사 커티스는 WSJ에 "트럼프의 두 번째 임기 동안 파키스탄과의 관계가 개선됐기 때문에 (이제는) 미국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며 "이는 파키스탄도 오랫동안 원해 온 것"이라고 말했다.
커티스는 "미국은 파키스탄에 추가적인 긴장 고조가 그러한 성과(미국과의 관계 개선)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고 압박을 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yeseul@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