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에 AMD·인텔까지…미중 관세전쟁 핵심전장 '반도체'
엔비디아 중국향 칩 이어 인텔 고성능 칩도 중국 수출시 美정부 라이선스 필요
엔비디아 55억달러 AMD 8억달러 비용 압박…美, 中딥시크로 칩공급 차단 나서
- 신기림 기자
(서울=뉴스1) 신기림 기자 =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 수출을 옥죄며 반도체가 미중 관세전쟁의 핵심 전장으로 떠올랐다.
엔비디아부터 AMD, 인텔까지 인공지능을 주도하는 미국 기술 대기업들이 중국에 반도체 제품을 파는 수출길을 더욱 좁혔다. 중국은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인 희토류 수출 제한으로 맞대응하는 상황이다.
16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인텔은 중국 고객에게 일부 인공지능(AI) 프로세서를 판매하려면 미국 정부의 라이선스(허가증)가 필요하다고 통보했다.
지난주 인텔은 전세계 고객들에게 자사의 칩이 초당 1400기가바이트(GB) 이상의 총 DRAM 대역폭, 초당 1100GB 이상의 입출력(I/O) 대역폭 또는 두 가지를 합쳐 초당 1700GB 이상인 경우 중국 수출에 대한 라이선스가 필요하다고 알렸다.
중국 기업이 AI에 활용할 수 있는 고성능 인텔칩을 사려면 미국 정부의 허가증이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정부 허가가 얼마나, 언제 가능할지 확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 수출길이 사실상 막혔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인텔에 앞서 엔비디아와 AMD 역시 대중국 수출과 관련해 추가 통제를 받으며 비용 압박은 현실화했다.
전날 오후 늦게 엔비디아가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엔비디아가 기존의 미국 수출통제에 따라 성능을 낮춘 AI칩인 'H20'에 대해 미국 정부의 라이선스 요구가 무기한 지속된다고 밝혔다. 새로운 단속으로 이번 분기에만 55억 달러 비용이 든다고 엔비디아는 예상했다.
엔비디아의 H20과 더불어 경쟁사인 AMD의 MI308 및 동급 칩에 대한 새로운 수출 라이선스가 적용될 것이라고 미국 상무부는 확인했다. AMD가 이번 통제로 예상한 최대 비용은 8억 달러 수준이다.
미국 의회는 AI 열풍을 주도하는 엔비디아, AMD, 인텔을 포함한 미국 기술 대기업들이 중국 AI 대표주자 딥시크에 활용됐을 위험도 조사하고 있다.
FT에 따르면 하원 중국위원회는 딥시크가 미국 국가안보에 위협을 가하는 AI 앱을 구동하기 위해 수출 통제를 받는 엔비디아 칩을 확보했는지 여부와 확보했다면 어떤 방식으로 이뤄졌는지 설명할 것을 엔비디아에 요청했다.
위원회는 엔비디아가 동남아에 수출하는 칩을 통해 우회적으로 딥시크에 AI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제공했는지 여부도 조사 중이다.
웨드부시 증권의 수석 주식 리서치 애널리스트인 댄 아이브스는 블룸버그에 "백악관에서 날아온 총알"이라며 "엔비디아를 비롯한 미국 기술과 관련해 중국에 '진입 금지' 사인을 보냈다"고 말했다.
중국은 반도체를 비롯한 수많은 전자제품 핵심 원료인 희토류 수출 제한으로 맞대응하고 있다. 이달 초 중국은 방위, 에너지, 자동차, 반도체 등에 사용되는 7가지 희토류와 자석에 대한 수출 제한을 시작하며 미국을 압박했다.
중국이 전세계 희토류 공급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의 방위 기술부문에 심각한 위협을 가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전략국제연구센터(CSIS)에 따르면 중국의 무역 통제로 인해 희토류 원소 수출이 완전히 중단되면 미국은 그 공백을 메우기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핵심 광물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최소 15종의 핵심 광물을 수입하고 있으며, 특히 희토류 수입의 70%는 중국산이다.
shinkirim@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