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에서 노동절 맞아 대규모 반미 시위 열려…"혁명 수호해야"
쿠바 제재 복원한 트럼프 비난…"나라 불안정하게 만드려 해"
- 김지완 기자
(서울=뉴스1) 김지완 기자 = 쿠바에서 1일(현지시간) 노동절을 맞아 수십만 명이 참여한 반미 시위가 열렸다.
AFP통신에 따르면 이날 쿠바 수도 아바나에서 열린 시위에서는 시위대가 말레콘 광장에서 정부청사가 위치한 혁명 광장까지 이어지는 유명한 해안 대로를 가득 메웠다.
의사와 간호사로 구성된 한 시위대는 민족 영웅 호세 마르티의 기념비 앞을 지나며 "봉쇄를 철폐하라"와 "자유 쿠바 만세" 등의 구호를 외쳤다. 이 모습은 쿠바 혁명을 일으키고 공산 정부를 수립한 피델 카스트로의 동생인 라울 카스트로 전 대통령과 미겔 디아스카넬 현 대통령이 지켜봤다.
이날 시위는 쿠바를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고 쿠바가 파견한 해외 의사에 대한 비자 제한을 확대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 대한 항의 집회였다.
실험실 기술자로 일하는 알렉산더 가르시아(50)는 "오늘 이곳에서 혁명을 수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쿠바 중앙 노조 지도자인 울리세스 길라르테는 트럼프 행정부가 "물자 부족을 일으키고 나라를 불안정하게 만들려고 한다"며 파견 의사들에 대한 제재를 "삐딱하다"고 비판했다.
미국과 쿠바의 관계는 미국의 정권 교체에 따라 부침을 겪었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2015년 쿠바와 관계 정상화를 이루고 테러지원국에서 제외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1기 행정부 말기인 2021년 이를 철회했다.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은 퇴임 직전인 지난 1월 14일 쿠바를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제외했는데 6일 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당일 이를 철회했다.
쿠바는 제재와 코로나19로 인한 관광 업계 침체 등으로 인한 경제난을 겪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전국적인 정전이 발생하고 허리케인, 규모 6.8의 지진까지 겹쳐 큰 피해를 입었다. 이러한 복합적 위기로 인해 2022~2023년 인구의 10%인 100만 명 이상이 쿠바를 떠났다.
gwkim@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