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日 정부 "트럼프 예측 곤란한 상대"…취임 전부터 비밀 대책회의

아사히 "트럼프, 경제 내셔널리스트 측면 있어"…관료들 대일 압박에 경계
관세 인상·방위비 압박 등 대비…"무역적자 삭감 요구에 대미 투자 강조해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 시간) 미 워싱턴 연방의회 의사당 로툰다 홀에서 제47대 대통령 취임 선서를 마친 뒤 취임사를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미국의 황금시대는 이제 시작된다"고 선언한 뒤 "나는 매우 단순히, 미국을 최우선시할 것"이라며 집권 1기 취임사와 마찬가지로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를 국정의 모토로 내세웠다. ⓒ AFP=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서울=뉴스1) 권진영 기자 = '미국 우선주의'를 대대적으로 내세운 트럼프 2기 정권이 공식 출범하자 일본 정부 내부에서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아사히신문이 복수의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21일 보도했다.

외무성 소속 한 간부는 일본에 대한 미국 정부의 요구에 대해 "트럼프 정권에서는 힘들어질 우려가 있다"며 위기감을 감추지 못했다.

아사히는 "트럼프 대통령은 장기간 동맹국을 포함한 타국으로부터 미국의 부를 빼앗겨 왔다고 굳게 믿는 경제 내셔널리스트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현지의 일본 정부 관계자들은 취임식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어떤 메시지가 나오는지 치열하게 정보를 수집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관계자들은 취임식 및 집회 연설에서 일본이 직접적으로 언급되거나 관련 정책이 거론되지 않아 안도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비밀리에 '트럼프 대책 회의'도 열었다. 대선이 열린 지난해 11월 이전에 이미 시작된 이 회의는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을 필두로 외무·경제산업·재무·방위 담당자들이 아키바 다케오 전 국가안전보장국장과 함께 대응책을 논의했다. 2기 트럼프 행정부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일본이 가장 경계하는 것은 역시나 관세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부터 백악관에 입성하는 첫날 멕시코·캐나다를 통해 들어오는 상품에 25%의 관세를, 중국에 대해서는 10%의 추가 관세를 경고했다.

경고가 현실이 되지는 않았지만 철강이나 알루미늄, 반도체, 주요 광물 등 특정 '중요 제품'을 대상으로 모든 국가에 보편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도 지적돼 긴장을 늦출 수 없다.

한 경제 관련 부처 소속 간부는 "일률적인 관세라면 영향이 세계적일 것이므로 별로 걱정하지 않지만, 일본의 특정 품목에 관세가 붙으면 거래를 위해 대체품을 확보해야만 하기 때문에 고통스럽다"고 했다.

경제산업성 소속의 한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 내 고용을 활성화해 "강한 미국"을 되찾겠다는 메시지를 일관적으로 내고 있다"며 "그것을 위해 무엇을 할지는 생각하기 나름이니 예상하기 어렵다"고 푸념했다.

이어 "어떤 품목이 타깃이 될지는 알 수 없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적자 삭감은 반드시 주장할 것"이라며 "일본 기업은 대미 투자로 상당한 수의 고용을 창출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설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등 다국간 경제 연계에서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하지만 경산성 간부는 "미국이 이탈하더라도 IPEF 운용을 계속한다는 것은 변함없다"고 잘라 말했다.

한편 미국이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하는 안보 분야에서는 방위비 압박이 예상된다.

한 정부 관계자는 일본이 방위비를 국내총생산(GDP) 대비 2%로 끌어올린 점을 들어 "착실히 노력하는 자세를 강조하는 수밖에는 없다"고 했다. 양국이 합의한 특별협정 기간은 오는 2026년까지로 2년 남았다.

일본 정부는 미국과 방위 장비품 공동 개발을 추진 중인데, 우크라이나 지원으로 미국산 미사일 생산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는 상황을 근거로 일본이 생산 및 수리를 담당하도록 설득할 방침이다.

한편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2월 초쯤 정상회담을 개최하기 위해 방미 일정을 조율 중이다.

realkwon@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