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무역전쟁' 中 "美NSA, 하얼빈 AG 사이버공격 감행…3명 수배"

요원 실명 공개하고 대학 2곳도 공범 적시…"중요기밀 탈취 시도"

ⓒ News1 DB

(베이징=뉴스1) 정은지 특파원 = 중국은 올해 2월 열린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을 겨냥한 사이버공격을 이유로 미국 국가안보국(NSA) 소속 요원 3명에 대해 수배령을 내렸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15일 보도했다. 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이는 와중에 나온 조치여서 중국 측의 관세 대응이 전방위적으로 확대되는 의미일 수 있다.

보도에 따르면 하얼빈시 공안국은 "법에 따라 국외 세력의 사이버공격 및 기밀 도용 범죄를 단속하고 국가 사이버 공간 안전과 인민의 생명·재산 수호를 위해 NSA 소속 캐서린 A. 윌슨, 로버트 J. 스넬링, 스티븐 W. 존슨 등 3명을 수배한다"고 밝혔다.

앞서 중국 국가컴퓨터바이러스응급처리센터 겸 컴퓨터바이러스백신검사센터는 하얼빈 동계 아시아게임 정보 시스템 등에 대한 해외 사이버공격 상황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하고 대회 기간 미국을 비롯한 해외에서 27만회 이상의 사이버공격이 있었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하얼빈시 공안국은 조사 결과 NSA 요원 3명과 캘리포니아대(UC 버클리)와 버지니아 공대 등이 공격에 참여했다고 주장했다.

공안국은 "이번 대회 기간 사이버공격은 NSA 데이터 정찰국(코드명 S3) 산하 특정 침입 작전 사무실에서 진행했다"며 "이들은 공격 출처를 숨기고 사이버 수단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소속된 여러 기관에 의존해 여러 국가의 IP 주소를 구매하고 유럽, 아시아 등 국가와 지역에 위치한 대량의 네트워크 서버를 익명으로 임대했다"고 밝혔다.

공안국은 이번 공격이 아시안게임 등록 시스템, 도착 관리 시스템 등 중요 시스템에 집중됐다며 "많은 경기 관련자의 신원 등 민감 정보에 접근해 개인정보를 탈취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헤이룽장성 내 에너지, 교통, 수자원, 통신, 국방과학 연구기관 등 중요 산업을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을 감행해 당국의 핵심 정보 인프라를 훼손하고 사회 질서 혼란을 야기하는 등 관련 분야의 중요한 기밀 정보를 절취하려 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공안국은 "효과적인 단서를 제공하거나 관련 범죄 용의자를 체포하는 데 협조하면 일정 금액의 보상금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ejjung@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