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행, 금리 동결…"각국 통상정책 전개로 불확실성 매우 높아"(상보)
정책금리 현행 0.5% 유지 만장일치 결정…2회 연속 동결
"美관세정책, 해외경제 둔화·기업수익↓·불확실성↑으로 日에 하방 요인"
- 최종일 선임기자
(서울=뉴스1) 최종일 선임기자 = 일본은행의 우에다 가즈오 총재는 1일 기자 회견에서 향후 금융 정책 운영에 대해 "경제·물가 전망이 실현된다면 경제·물가 상황 개선에 따라 계속 정책금리를 올리고 금융완화 정도를 조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NHK와 닛케이에 따르면 전망의 실현 여부와 관련해 우에다 총재는 미국의 관세정책을 염두에 두고 "각국의 통상정책 등 향후 전개와 그 영향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라며 "예단을 갖지 말고 판단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앞서 일본은행은 금융정책 결정회의에서 정책금리를 현행 0.5%로 유지하기로 만장일치 결정했다. 금리 동결은 3월에 이어 2회 연속이다.
이날 일본은행은 2025년과 2026년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과 소비자물가(CPI) 상승률의 예측을 함께 인하했다. 올해의 실질 GDP 증가율은 전년 대비 0.5%로, 1월 시점의 1.1%에서 0.6% 포인트(p) 인하했다. 올해 신선 식품을 제외한 CPI 증가율의 전망은 전년 대비 2.2%로, 1월 시점(2.4%)으로부터 0.2%P 하향 수정했다.
이날 우에다 총재는 정부와 내세우는 물가 2% 목표가 실현되는 시기에 대해 "(지금까지보다) 다소 뒤처져 있다"면서도, 다음의 금리 인상에 대해서는 "반드시 뒤처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향후의 데이터에 따라서 앞당기는 것은 충분히 있을 수 있다"며 "여러 조건의 변화로 (금리 인상 시점은) 크게 왔다 갔다 한다"고 말했다.
미국의 관세정책 영향에 대해선 "해외경제 둔화, 기업 수익 감소, 불확실성 고조에 따른 지출 지연 등의 경로를 통해 국내 경제의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면서도 장기적으로 "하방 압력은 점차 약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 시기에 대해선 "(상호 관세의) 유예 조치의 기간인 90일이 하나의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그 앞에서도 예를 들면 현재의 미일 협상과 같이 순차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협상도 있고, 90일이 지나도, 여전히 남는 부분이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관세정책이 일단 이렇게 가면 (특정 세율로) 설정되더라도 다소의 불확실성은 남아 단정하기 어려운 상태가 계속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allday33@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