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60% 관세'…중국, 트럼프 취임 하루 앞두고 불안·기대 공존
한정 부주석, 미국 재계 대표단 등과 회담
트럼프 고율 관세 부활에 중국 예의주시
- 박재하 기자
(서울=뉴스1) 박재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을 하루 앞두고 중국이 미국과 고위급 만남을 이어가며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이 그동안 최대 60%의 고율 관세를 중국에 부과하겠다고 공언해 온 만큼, 제2의 무역 전쟁을 우려한 중국이 이를 완화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1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중국 관영 신화통신을 인용해 한정 중국 부주석이 이날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식을 앞두고 미국 워싱턴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등 미국 재계 인사들과 회담했다고 보도했다.
한 부주석은 이 자리에서 미국 기업들이 중국에 "뿌리를 내려" 양국 관계 안정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이날 미국 측에서는 머스크 외에 라제쉬 수브라마니암 페덱스 CEO 등 8개사 대표가 참석했다. 회의에 참석한 한 미국 기업 임원은 회의가 할당된 시간을 초과했으며 진지한 분위기에서 진행됐다고 로이터에 전했다.
이와 관련해 마이클 하트 주중 미국 상공회의소 회장은 "한 부주석은 상하이에서 근무했기 때문에 경제를 잘 알고 외국 기업의 우려를 잘 이해하는 사람으로 여겨진다"라며 회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한 부주석은 이날 J.D. 밴스 미국 부통령 당선인과도 만났다.
그는 밴스 당선인에게 "중국은 미국과 함께 양국 관계의 안정적이고 건강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진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 17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하며 이를 두고 "매우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시 주석 역시 미중 관계가 "미국 대통령의 새 임기에서 좋은 출발을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로이터는 이날 양국 정상 간 통화로 중국과 홍콩 증시가 상승세를 이어갔다고 짚었다.
한편 트럼프 당선인은 자신의 두 번째 임기 때 중국에 60%의 고율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고, 중국의 최혜국대우(MFN)도 박탈하겠다고 공언해 왔다. 실제로 트럼프 1기 행정부는 3000억 달러(약 434조 원) 규모의 중국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기도 했다.
이에 로이터는 "이러한 고율 관세는 중국 경제가 확고한 기반을 다지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시기에 중국에 타격을 줄 수 있는 조치"라며 중국에서 이를 우려하는 시선이 있다고 진단했다.
베이징 주민 왕(36)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중국 경제가 좋지 않은 점과 트럼프 당선인이 독특한 사람이라는 사실이 우리에게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라며 "여전히 부담이 크다"고 로이터에 강조했다.
jaeha67@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