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바이오 R&D·인재양성 속도 내나
R&D 지원으로 신약 개발 속도 단축+확률 제고 기대
2027년까지 11만 인재양성+통합바이오센터 구축 속도
- 구교운 기자, 강승지 기자
(서울=뉴스1) 구교운 강승지 기자 = 정부가 수십조 원 규모의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신설해 바이오·AI 사업에 투입하기로 하면서 인재 양성, R&D 확대 등 바이오산업 성장 정책 추진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6일 정부에 따르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는 전날 바이오·배터리 등 첨단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산업은행에 신설하고 34조 원을 투입한다.
이에 따라 연구개발(R&D), 인재 양성, 바이오 빅데이터 의료데이터 AI 활용 활성화, 개인 의료 데이터 중계 활성화 등 정책이 가속화될 것이란 기대감이 나온다.
정부는 지난해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를 통해 올해 혁신적·도전적 R&D와 선진국과의 최고 수준(톱-티어)의 연구를 위한 글로벌 공동연구 및 첨단 전략기술 육성 분야를 확대해 간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특히 신약 개발 비용은 평균 1조 원 이상 소요되는 데다 임상 기간이 길고 실패 확률도 높은데 이번 기금을 활용한 R&D 지원으로 신약 개발 속도를 단축하고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을 전망이다. AI 기반 신약개발, 유전체 분석, 맞춤형 치료 기술 개발 등 정밀의료 및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혁신도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2027년까지 핵심 인재 11만 명 양성을 목표로 한 '바이오헬스 인재 양성'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023년 4월 이런 목표를 발표하고 사업현장 기반 학교교육, 현장수요 맞춤형 생산·규제과학, '넥스트 반도체' 도약을 위한 핵심 연구 인재, 든든한 지원체계 구축 등 4대 사업을 통해 인력 양성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본격화한 '국가통합바이오데이터 구축사업'에도 속도가 붙을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사업은 국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동의에 기반해 임상정보·공공데이터·유전체데이터 등 의료데이터를 개인 중심으로 통합·관리하는 사업이다. 오는 2028년까지 77만 2000명, 2032년까지 총 100만 명의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바이오 빅데이터는 국민보건과 바이오산업을 위한 정밀의료·맞춤의료 연구에 필수적으로 꼽힌다. 정부는 데이터뱅크와 바이오뱅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보관·활용하며 향후 정밀의료 및 디지털 헬스케어 개발 등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2026년부터 대학·병원 연구자에게 개방할 예정이다.
kukoo@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