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행복을 못 느끼는 유전자”…우울증·조현병과 유전적 연결 확인

삼성서울병원·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 한국·유럽인 76만명 유전체 분석
우울증 유전자 93%가 '행복감 결핍'과 관련…ZMYND8 등 새 유전자 규명

원홍희 삼성서울병원 교수, 명우재 분당서울병원 교수, 정진영 전 삼성서울병원 임상강사(왼쪽부터)/(삼성서울병원 제공)

(서울=뉴스1) 김규빈 기자 = 정신장애와 주관적 행복도가 유전적으로 연결돼 있다는 대규모 분석 결과가 나왔다. 환자가 치료 후에도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가 단순한 심리 문제가 아닌, 유전자 차이 때문일 수 있다는 얘기다.

15일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원홍희 삼성서울병원 교수, 명우재 분당서울대병원 교수팀은 유럽인 65만 명, 한국인 11만 명의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해, 14개 주요 정신질환과 주관적 행복도의 유전적 연관성을 밝힌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 결과 우울증, 조현병, 자폐 스펙트럼 장애, 양극성장애1형 등 7개 질환에서 주관적 행복도와 유전변이를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울증은 관련 유전변이의 93%가 행복감과도 겹쳤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88%, 조현병 74%, 양극성장애1형은 57%로 나타났다. 이는 행복도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가 상당수 정신장애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다.

정서 조절에 관여하는 새로운 유전자(ZMYND8, LINC02163)도 처음 발견됐다. 이 유전자들은 감정과 기억을 관장하는 전두엽, 해마, 편도체 등에서 주로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행복 관련 분자 기전이 밝혀진 셈이다.

이번 연구는 MiXeR 모델, condFDR 분석, 다원적 위험 점수(PRS), 멘델 무작위화(MR) 분석 등 다양한 기법을 동원해 정신장애와 행복도 간의 유전적 교차 구조를 정량적으로 규명했다.

PRS 분석에서는 정신장애 위험 점수가 높을수록 행복도는 낮아졌으며, MR 분석에서는 유전적으로 낮은 행복감이 우울증, 조현병,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임이 입증됐다.

또한 우울증에서만 condFDR 분석을 통해 기존에 보고되지 않았던 66개의 추가 유전자 자리를 새롭게 확인했으며, SWB와 정신질환 양쪽에 영향을 주는 공통 유전변이도 100개 이상 도출됐다.

원홍희 교수는 "이번 연구는 주관적 행복도와 정신장애 간의 밀접한 유전적 연관성을 재확인한 것"이라며 "행복을 구성하는 유전적 기전을 밝히는 것은 정신질환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명우재 교수는 "정신장애와 행복의 연관에 대해 분자 수준에서 기전을 밝힐 수 있다면 이러한 환자들에게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휴먼 비헤이비어'(Nature Human Behaviour) 최신호에 게재됐다.

rnkim@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