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SK바이오팜, 美 의약품 관세 대응 '잰걸음'…"현지 CMO 협력·재고 확보"

"현지 생산 전략 수년 전부터 추진…생산용 FDA 허가 이미 승인"
6개월분 '세노바메이트' 물량 사전 확보…"다양한 옵션 활용 가능"

SK바이오팜이 자체 개발한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명 엑스코프리).(SK바이오팜 제공)/뉴스1

(서울=뉴스1) 황진중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의약품에 관한 관세 부과를 추진 중인 상황에서 SK바이오팜(326030)이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명 엑스코프리) 생산기술 이전과 현지 재고물량 확보 등 대응 전략을 이미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SK바이오팜은 21일 급변하는 정책 환경과 공급망 불확실성 속에서 안정적인 의약품 공급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대응책을 준비해 왔다고 밝혔다.

SK바이오팜은 미국 시장에서 세노바메이트를 판매하고 있다. 세노바메이트는 국내에서 원료의약품(API)을 제조한 후 캐나다에서 정제(태블릿)와 제품 패키징 등 완제의약품으로 만들어 미국에 수출되고 있다.

SK바이오팜은 추가적인 공급망 확보를 통한 공급 안정을 위해 캐나다 외에 추가적으로 미국 현지 생산 전략을 수년 전부터 추진했다. 신약 생산 시설 변경 혹은 추가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등 규제 당국의 승인을 필요로 하는 등 복잡한 절차가 필요하다.

SK바이오팜은 생산시설 추가·이전을 미리 준비해 세노바메이트 생산 기술 이전과 공정 검증 등을 완료하고 지난해 하반기에 FDA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SK바이오팜은 FDA 승인을 받은 미국 내 의약품 위탁생산(CMO) 시설을 확보해 필요할 시 즉시 생산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관세 정책 변화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준비를 갖췄다고 전했다.

SK바이오팜은 또 미국 내에 약 6개월분의 물량을 사전에 확보하고 있어 관세 변화 대응에 소요되는 기간 동안 해당 물량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이미 확보한 미국과 캐나다 CMO 업체 외에 추가적인 생산 옵션 확보를 검토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전 세계에 있는 세노바메이트 파트너사들과 생산 관련 협력 기회를 열어뒀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 "CMO를 통한 외주 생산 방식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직접 생산 대비 탄력적이고 빠른 대응에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면서 "이미 전체 비용의 70% 이상이 미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구조 또한 관세에 대응할 수 있는 여러 옵션을 가능하게 한다"고 말했다.

jin@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