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셀트리온, 상호관세 우려에 美판매 1년치 확보…"실질적 영향 無"

관세 시행 여부 관계없이 선제 대응 완료…현지업체 협력 강화 고려
의약품 관세 부과, 약가 인상 초래할 듯…제한적·면제 가능성

셀트리온이 미국에서 신약으로 허가를 받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짐펜트라'(성분명 인플릭시맙·피하주사제형).(셀트리온 제공)/뉴스1

(서울=뉴스1) 황진중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가 간 상호 관세를 매기는 관세 정책을 강하게 추진하면서 글로벌 제약사 등이 현지 생산시설 설립 등을 검토하고 있다. 북미에서 매출 1조 원 이상을 확보한 셀트리온(068270) 역시 관세 정책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올해 미국에서 판매할 수 있는 의약품 1년 치를 선제적으로 확보했다. 또 현지 생산시설 설립, 현지 위탁생산(CMO) 기업과 협업 등에 나설 계획이다.

"의약품 관세 시행 상관없이 선제 대응 완료…올해 미칠 영향 없어"

7일 한국바이오협회 등에 따르면 글로벌 제약사 일라이릴리는 지난달 26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통해 270억 달러(약 39조 원)를 투자해 5년 내 가동을 목표로 미국에 4개 제조시설을 건설한다.

일라이릴리에 이어 화이자도 현지 공장 설립을 고려하고 있다. 앨버트 불라 화이자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4일 TD 코웬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필요하다면 해외 제조 시설을 미국에 있는 기존 공장으로 이전할 수 있다"면서 "미국에 기존 제조 네트워크를 갖춘 회사는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할 시 더 나은 성과를 낼 것"이라고 언급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13일 개별국이 미국 상품에 적용하는 관세율만큼 미국도 상대국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상호 관세를 결정했다. 같은 달 18일에는 기자회견을 통해 반도체, 의약품에 대해 25% 혹은 그 이상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전했다.

업계는 셀트리온의 경우 미국에서 의약품을 직접판매(직판)하고 있는 만큼 의약품 관세 시행땐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미국을 포함한 북미 지역에서만 전체 매출의 29%에 해당하는 1조 453억 원을 확보했다. 전년 대비 66% 성장한 규모다. 셀트리온에 있어 미국 의약품 시장 중요도가 지속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셀트리온은 트럼프 대통령 발표 이후 공지사항 등을 통해 미국 관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들을 선제적으로 마련했다고 전했다. 우선 미국에서 판매 예정인 회사 제품에 대해 9개월분의 재고를 이미 미국 현지로 이전해 관세 부과 여부와 상관없이 올해 판매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한 상태다.

셀트리온 전경.(셀트리온 제공)/뉴스1

또 관세 부과 시 세 부담이 낮은 원료의약품(DS) 수출에 집중하고 있다. 제조 역량을 갖춘 현지 위탁생산(CMO) 업체를 통해 완제의약품(DP)을 생산하고 있는 만큼 의약품 관세 부과 추이에 따라 필요시 현지에서 DP 생산을 더 늘린다는 계획이다. 현지 생산시설 확보를 위한 검토 등도 진행하고 있다.

이명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셀트리온은 트럼프 대통령의 의약품 관세 정책에 영향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면서 "사전에 현지 원료의약품, 완제의약품 시설을 확보했고, 현지 생산시설 설립도 검토 중이다"고 설명했다.

정유경 신영증권 연구원은 "신약, 바이오시밀러 미국 직판의 경우 현지 재고 확보나 이전가격 조정으로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미국 내 생산시설 확보 방안을 제시하고 있어 대응이 가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의약품 관세 부과, 美 약가 인상 초래…제한적 관세·면제 가능성도

의약품 관세는 미국 내 약가 인상을 초래할 수 있어 기존 트럼프 행정부의 보건의료 정책과는 상반된 정책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국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의약품 가격을 책정하는 기관이 미국에는 따로 없다. 제약사에서 직접 가격을 정해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리베이트가 사실상 합법으로 운영되는 시장 경제 시스템까지 더해져 의약품 가격이 고가로 형성됨에 따라 미국에서는 의료비 지출 규모가 전체 GDP의 17.6%를 차지하는 등 재정 운영에 심각한 부담을 겪고 있다.

문제 해결을 위해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정부 당시 '미국 환자 우선'(American Patients First) 계획, '약가 인하를 위한 미국 우선'(Lowering Drug Prices by Putting America First) 행정명령 등을 시행한 바 있다.

셀트리온이 항체 치료제를 생산하고 있다.(셀트리온 제공)/뉴스1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가 실제로 이뤄질 것인지에 대해서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서근희 삼성증권 연구원은 "의약품 관세 정책은 미국 내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어 약가 인하 정책과 상충하므로 의약품에 대해서는 제한적 관세 또는 면제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미국 관세 변화에 대해 현지와 국내에서 시장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고 있으며, 관세 시행 여부와 상관없이 선제적으로 대응을 끝마쳐 올해 발생할 수 있는 실질적 영향은 없는 상황"이라면서 "미국 현지에서 의약품 생산시설을 확보하기 위한 검토도 진행하고 있는 만큼 보다 근본적이고 지속 가능한 대응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jin@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