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 1년…상급종합병원 의사 35% 줄고 동네 병원은 늘었다
병원 의사는 6.8%, 의원 의사는 9.4% 늘어
- 구교운 기자
(서울=뉴스1) 구교운 기자 = 지난해 2월부터 시작된 의정 갈등으로 상급종합병원 의사 수는 30% 이상 준 반면 동네 병의원 의사수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와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이 10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공동 개최한 '제3회 미디어포럼'에서 이런 분석 결과가 공개됐다.
박은철 의학한림원 부원장(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이 발표한 국가통계포털 자료에 따르면 상급종합병원의 의사 수는 지난 2023년 2만 3346명에서 2024년 1만 5232명으로 34.8% 감소했고 종합병원은 2만 2401명에서 1만 9773명으로 11.7%가 줄었다.
반면 병원 의사 수는 1만 541명에서 1만 1256명으로 6.8%, 의원 의사는 5만 285명에서 5만 4989명으로 9.4% 증가하며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세부적으로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전공의는 각각 8397명, 3314명이 감소했고 병원 및 의원의 일반의는 각각 638명, 3097명이 증가했다. 전공의 중 7150명(54.9%)은 휴직이나 군입대, 해외 진출 등으로 병원을 떠난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의 수는 모든 의료기관에서 증가했는데 의원(1607명), 상급종합병원(189명), 병원(95명), 종합병원(55명) 순이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 전체 전문의는 2023년 5만 2813명에서 2024년 5만 4194명으로 2.6%, 지방 전문의는 4만 2827명에서 4만 3171명으로 0.8% 증가했다.
지난해 상급종합병원의 진료비는 18조 9460억원으로 1년 전 20조400억원보다 5.5%가량 감소했고 병원급 의료기관의 진료비는 10조 6080억원으로 전년 9조 1220억원보다 16.3% 증가했다.
이날 행사는 '의정 갈등 1년, 의료의 현주소와 미래를 위한 교훈'을 주제로 진행됐다.
이종구 의학한림원 부원장은 의정 갈등에서 나타난 초과사망 논란과 관련 "의정 갈등으로 전공의들이 떠난 이후 단순히 사망 숫자만으로 초과 사망자가 유의미하게 증가했다고 보긴 어렵다"며 "초과사망은 지속되는 코로나19의 영향과 계절 인플루엔자 유행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초과사망은 코로나19와 같은 재난적 상황에서 보건의료 시스템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실시간 사망 원인과 통계를 확보할 수 있는 데이터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kukoo@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