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열명 중 아홉명 "복무 3년, 2년으로 줄면 공보의·군의관 희망"
공보의협의회 "지금 마지막 기회…복무 기간에 부담 큰 상황"
- 강승지 기자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복무 기간이 현행 36개월(3년)보다 1년 이상 짧은 24개월(2년)로 줄어들 경우 공중보건의사(공보의)나 군의관으로 복무하겠다는 의대생이 90%를 넘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는 17일 의대생 2469명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를 이같이 공개했다. 이는 협의회가 지난해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 연구 의뢰를 받아 진행했다.
조사 결과 복무기간이 24개월로 단축될 경우 복무 희망률은 공보의가 94.7%, 군의관이 92.2%였다.
공보의 복무 희망률은 현행 37~38개월에서 26개월로 단축 시 62.9%, 24개월일 경우 94.7%로 상승했다. 군의관 또한 같은 조건에서 각각 55.1%, 92.2%로 급등했다.
특히 '일반의무병'으로 복무를 희망했던 응답자들조차 복무기간이 24개월로 단축되면 약 94% 이상이 공중보건의사나 군의관 복무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환 회장은 "복무 기간을 줄이면 단순히 지원율이 올라가는 수준이 아니라, 지금 단축하지 않으면 머지않아 아무도 지원하지 않게 될 것이라는 경고"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이미 공보의 제도의 붕괴는 시작됐으며, 지금이 마지막 기회"라고 강조했다.
응답자들 사이에서 공보의, 군의관 복무 기간에 대한 부담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74.5%가 부담 정도를 10점 만점 중 '10점'(매우 부담됨)으로 평가했으며 '9점'까지 포함하면 84%에 달했다.
복무 기간이 짧아질수록 복무 희망률은 가파르게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전공의·공중보건의사·군의관 희망자 모두에게서 공통적으로 관찰됐다.
협의회는 정부가 이 같은 상황을 알고도 실질적인 대응을 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 회장은 "정부가 공공의료를 진정으로 지키려는 의지가 있다면 협회와 즉각 대책회의를 열어야 한다"며 "이대로면, 더는 후배들에게 공보의를 권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ksj@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