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시리아와 수교 잠정 합의…곧 국무회의서 공식화
시리아 과도정부 출범 3개월여 만…유엔 모든 회원국과 수교
- 정윤영 기자
(서울=뉴스1) 정윤영 기자 = 정부가 유엔 회원국 중 마지막 미수교국인 시리아와 수교하는 데 잠정 합의했다.
외교부는 11일 "정부는 시리아와 수교를 추진한다는 기본 방침 하에 관련 절차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곧 국무회의에 시리아와의 수교안을 상정해 의결을 거쳐 시리아와 수교를 위한 공식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정부가 시리아와 수교를 추진하는 건 지난 24년간 시리아를 철권통치한 바샤르 알 아사드 정권이 축출되고 과도정부가 출범한지 불과 3개월여 만이다.
앞서 김은정 외교부 아프리카중동국장이 지난달 초 시리아를 방문해 수교 의사를 확인한 바 있다.
시리아와 공식 수교를 맺게 되면 정부는 북한을 제외하고 유엔의 191개 회원국과 모두 공식 외교관계를 수립하게 된다. 교황청, 쿡 제도, 니우에 등 유엔 비회원 국가를 포함하면 시리아는 한국의 194번째 수교국이 된다.
정부가 시리아의 정치 상황 변화에 맞춰 빠르게 외교관계 수립을 추진하는 배경엔 북한에 대한 외교적 압박을 강화하려는 의도도 있다.
북한과 시리아는 1966년 수교를 맺었다. 1960~70년대 중동전쟁 시절엔 북한이 시리아에 공군 조종사를 파견한 바 있고, 이후엔 미사일과 핵 개발 기술이 거래되는 등 군사적 밀착 관계를 장기간 이어왔다.
그러다 지난해 12월 이슬람무장단체 하야트타흐리르알샴(HTS)이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를 점령하고 아사드 정권을 축출한 뒤엔 북한과의 관계에 거리를 두고 있다. 시리아에 체류하던 북한 외교관들은 정권 교체 직후 시리아를 탈출해 아직 복귀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yoonge@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