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네이버, IT 중장년 재취업 강화…"맞춤형 훈련 프로그램 개발"
고용부, 중장년 생애주기별 일자리 지원체계 구축…계속고용 '제도화'
- 나혜윤 기자
(세종=뉴스1) 나혜윤 기자 = 네이버(주)는 18일 고용노동부와 '정보기술(IT) 산업 중장년 재취업 지원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중장년 근로자를 위한 맞춤형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김민석 차관은 이날 오후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네이버㈜에서 이 같은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노동시장 전반에서 중장년 역할을 확대해 나간다고 밝혔다.
IT 산업은 기술이 빠르게 변화해 상시적인 이‧전직이 발생할 수 있는 산업으로, 체계적인 재취업 지원 교육의 필요성이 높다. 이에 정부는 IT 분야 선도기업인 네이버㈜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IT 산업 중장년 근로자에 대한 재취업 지원 강화에 나선다.
이번 협약으로 네이버는 사내 전문인력, 교육 프로그램 등을 활용해 IT 산업 중장년 근로자를 위한 맞춤형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훈련 과정에는 근로자의 희망, 이‧전직 분야별 직무교육과 취업 연계를 위한 프로그램도 포함돼 중장년 근로자의 직무 역량과 재취업 가능성을 함께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중장년 재취업 지원에 대한 모범 모델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맞춤형 재취업 훈련을 하는 기업에 훈련 운영 비용을 지원하면서, 교육에 참여한 중장년을 채용한 기업은 채용장려금 지원으로 연계할 방침이다.
정부는 중장년 근로자가 원하는 만큼 일할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일자리 지원체계를 구축해 나간다. 생애전환기인 40대부터 경력을 재설계하도록 지원해 제2의 근로생애를 단절 없이 준비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50대는 2차 베이비부머의 특성과 선호를 고려해 유망자격형, 경력전환형, 경력이음형 일자리를 발굴한다. 또 60세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계속 고용을 제도화할 방침이다.
김 차관은 "경력, 능력, 체력 등 역량이 높은 중장년 근로자들이 노동시장에서 원하는 만큼 일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개인의 삶의 질과 국가 경제 활력을 함께 높일 수 있는 중요한 과제"라면서 "근로자가 40대부터 미리 생애 경력을 설계해 50대에는 원하는 일자리에 빠르게 재취업 해, 60세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에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freshness410@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