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후 재취업 막막"…고용부, 50대 맞춤형 취업 지원 강화
50대 고용률 1년째 뒷걸음…일자리·훈련·경험 연계 '종합 지원'
경력지원제 참여자엔 3개월 간 월 최대 150만원 지원금 제공도
- 나혜윤 기자
(세종=뉴스1) 나혜윤 기자 = 정부가 고용률이 부진한 50대의 재취업을 돕기 위해, 총 355억원을 투입해 일자리 발굴부터 직업훈련, 일 경험, 취업 알선까지 맞춤형 취업 지원체계를 가동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4월 50대 고용률은 77.3%로,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12개월 연속 전년 대비 하락세가 이어지며 불안정한 고용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번 취업 지원 대책은 50대가 퇴직 이후에도 자신의 능력과 경력을 기반으로 노동시장에 안정적으로 재진입할 수 있도록 △취업 적합 일자리 발굴 △직업훈련 확대 △일경험 제공 △취업알선 등으로 지원을 제공한다.
우선 고용부는 공조냉동기계기능사, 전기기능사 등 취득이 쉬우면서도 취업률이 높은 자격을 중심으로 유망 직종을 분기별로 발굴·제시하고, 현장 중심의 맞춤형 일자리 컨설팅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지역별 기업 수요조사와 인사·노무 전문가(고용플래너)의 현장 방문을 통해 50대에 적합한 일자리를 선제적으로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직업훈련 규모도 확대된다. 폴리텍대학의 신중년 특화과정을 통해 올해 7500명에게 훈련 기회를 제공하며 야간·주말과정을 운영해 재직 중인 전직 희망자도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유망 자격 취득을 위한 전략산업직종 훈련 등도 함께 운영된다.
경력단절 문제 해소를 위한 일경험 지원도 강화된다. 고용부는 경력지원제 참여 인원을 기존 910명에서 2000명으로 확대하고, 참여자에게 월 최대 150만 원, 기업에 최대 40만 원을 지원한다. 경력 없는 50대 구직자에게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실질적 재취업을 유도할 방침이다.
지역 중심의 통합 지원 체계도 새롭게 도입된다. 고용센터와 내일센터, 지자체 일자리센터, 폴리텍, 새일센터 등을 연계한 '중장년 고용네트워크'를 통해 지역 특화 일자리와 연계한 인력 매칭도 추진된다. 서울시와 협업해 마을버스 운송직 등 구인난이 큰 분야에 대해 자격취득 지원과 일경험 프로그램을 결합한 시범사업도 6월부터 시행된다.
김민석 차관은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이고 954만명의 2차 베이비붐 세대 50대가 대규모 은퇴를 앞두고 있다. 최근에는 12개월 이상 50대 고용률이 하락 추세를 보이는 등 노동시장 불안정성이 우려되는 가운데, 50대를 위한 취업지원 정책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앞으로도 일자리 발굴, 훈련, 일경험, 취업 지원 등 전방위적인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freshness410@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