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박성택 산업차관 "2+2 통상협의서 '알래스카 프로젝트' 논의했다"

美 측에 "사업 타당성 확인하는 게 선행…입장 선명하게 밝혀"
"현재 타당성 조사 위한 실사 일정 알래스카 주정부와 조율 중"

박성택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이 7일 서울 종로구 한국생산성본부에서 열린 '미국 상호관세 대응을 위한 석유화학 업계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2025.4.7/뉴스1

(세종=뉴스1) 이정현 나혜윤 기자 = 박성택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지난주 이뤄진 미국과의 '한미 2+2 통상협의'에서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와 관련한 논의가 있었다고 밝혔다.

박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종합청사에서 2+2 통상협의 관련 성과 브리핑 자리에서 "(미국에)우리는 알래스카 사업과 관련해 사업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게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선명하게 밝혔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차관은 "현재 타당성 조사를 위해서 실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실사 일정을 잡기 위해 알래스카주 정부와 일정을 조율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미국은 '관세 협상'을 무기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압박을 본격화하고 있다. 오는 6월 2일 미 행정부가 알래스카 LNG 투자 계약을 촉구하기 위한 고위급 회담을 계획 중인 가운데, 이 자리에서 한국·일본과 LNG 구매 계약 투자의향서(LOI)를 체결하려 한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미국과 관세 협상 중인 우리 정부는 협상의 지렛대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를 검토 중이다. 다만 막대한 비용, 불확실한 사업성이 리스크로 상존하는 만큼 알래스카 현지에 실사단을 파견해 꼼꼼하게 수지 타산을 맞춰본 뒤 참여 여부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미국은 동맹국에 대한 빠른 결정을 재촉하고 있다. LOI는 법적 강제력을 갖진 않지만, 국가 간 공식 문서가 오가는 만큼 상징성을 무시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더욱이 관세 협상 중인 미국과의 협약 사항을 단순한 투자의향서로 치부하기는 어려운 게 현실이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미국 북극권 노스슬로프에서 생산되는 LNG를 알래스카 주민에게 공급하고, 태평양을 가로질러 아시아에 수출하는 사업이다.

알래스카 관계자들은 현재 일본과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여러 국가를 순방하며 트럼프의 숙원인 440억 달러(약 63조 원) 규모에 달하는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의 아시아 투자자를 찾고 있다. 대만은 이미 지난달 600만 톤 규모의 LNG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무역불균형 완화 수단으로 일본과 한국에 더 많은 LNG 구매 압력을 가하고 있으나, 일본 내에선 알래스카의 추운 날씨와 프로젝트를 가동하는 데 필요한 파이프라인 규모를 고려할 때 비용이 예상을 웃돌 수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알래스카 LNG 공급이 2030년대 초반에 이르러서야 가능할 것이라는 점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이 때문에 우리 정부도 사업 참여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euni1219@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