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코인원" 반년 만에 재개된 금감원 현장검사…업계 '긴장'
금감원, 3위 거래소 코인원 대상 현장검사 착수
상장 심사부터 재무상태까지 전체적으로 점검…다음 타자는 업비트
- 박현영 블록체인전문기자
(서울=뉴스1) 박현영 블록체인전문기자 = 금융감독원이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원에 대한 현장검사에 착수한 가운데, 지난해 말 이후 일시 중단했던 현장검사를 재개하면서 가상자산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전날부터 코인원에 대한 현장검사에 착수했다.
금감원 검사는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에서 진행하고 있는 현장검사와 별도로 진행되는 검사다. FIU의 현장검사는 가상자산사업자 갱신신고 심사를 위한 주요 과정 중 하나로, 자금세탁방지(AML) 여부 등을 확인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반면 금감원 검사는 가상자산 이용자보호법 준수 여부는 물론 상장 심사 등 '자율 규제'를 제대로 이행하고 있는지도 본다. 또 전산 사고에 어떻게 대처했는지도 점검 대상이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해 9월 2위 가상자산 거래소인 빗썸을 상대로 현장검사를 실시했다. 이후 지난해 안에 주요 거래소 중 한 곳을 더 검사할 예정이었지만, 지난해 11월 가상자산조사국장이 돌연 교체되고 연초 정기 인사에서도 인력 변동이 생기면서 현장검사도 미뤄졌다.
금감원 현장검사가 재개되면서 업계는 '긴장 모드'에 들어갔다. FIU의 가상자산사업자 갱신신고 심사가 여전히 진행 중인 상황에서 금감원 검사에도 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 FIU 현장검사는 갱신신고 요건을 제대로 준수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는 반면, 금감원 검사는 상장 및 상폐 기준부터 거래소 재무 상태까지 전체적으로 점검한다.
지난해 11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 이후 본격적인 가상자산 상승장이 도래하면서 거래소들은 신규 상장을 공격적으로 진행해왔다. 상장을 빠르게 하는 과정에서 '졸속 상장', '상장 빔(가격 급등)' 등 논란이 발생했던 만큼, 금감원 검사에 더욱 긴장할 수밖에 없다.
또 지난해 12월 비상 계엄령 당시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들 모두 접속 장애가 있었다. 전산 사고·장애 대처 여부 또한 점검 대상이므로 거래소들은 이에 대비해야 한다.
특히 이번 검사 대상인 코인원은 상장과 관련한 문제를 일으킨 바 있다. 우선 지난해 12월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3대 거래소가 신규 발행 코인이었던 '무브먼트(MOVE)'를 상장하는 과정에서 코인원만 거래를 일찍 개시해 논란이 일었다.
무브먼트는 당시 신규 발행돼 전 세계 거래소에 최초 상장되는 코인이었다. 이 때문에 코인원 내 무브먼트 코인의 유동성이 부족한 상태였지만 코인원은 오히려 다른 거래소보다 일찍 거래를 개시했다. 이에 16분 새 상장가 215원이었던 코인이 99만8000원에 거래가 체결됐다가, 이내 5300원으로 폭락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또 코인원이 지난 1월 '트럼프 밈 코인'인 오피셜트럼프(TRUMP)를 상장했을 때도 논란이 있었다. 발행된 지 사흘 만에 상장한 탓에 심사 과정을 제대로 거쳤는지 금감원이 직접 문제를 제기했다. 단, 코인원은 적절한 상장 심사를 거쳤다는 입장이었다.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상장과 관련한 문제는 코인원이 가장 들여다볼 게 많을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다음 현장검사 대상이 사실상 예상되는 만큼 거래소들이 바짝 긴장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다음 금감원 현장검사 대상으로는 업비트가 꼽힌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 5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주요 증권사 최고경영자(CEO)와의 간담회를 가진 후 기자들과 만나 업비트에 대한 검사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FIU 현장검사 다음 대상은 빗썸이 될 전망이다. 지난해 FIU는 업비트, 코빗, 고팍스 순으로 현장검사를 끝냈다.
hyun1@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