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가계대출 전월比 5.3조 '급증'…"5월 증가폭 확대 전망"
증시변동성에 저가매수…신용대출 -1.2조에서 +1.2조로
금리인하 기대, DSR 규제 전 수요로 증가세 확대 가능성
- 박동해 기자
(서울=뉴스1) 박동해 기자 = 4월 가계대출이 급증했다. 전월 대비 증가 폭이 다시 5조 원을 넘겼다. 향후 금리 인하 기대감,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강화 전 대출 수요 쏠림 등의 영향으로 가계대출이 더 빠르게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전체 금융권의 가계대출 잔액이 전달 대비 5조 3000억 원 늘었다고 14일 밝혔다. 지난 3월 증가액이 7000억 원에 그친 것과 달리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인 것이다. 가계대출 증가액이 5조 원을 넘긴 것은 지난해 11월 이후 5개월 만이다.
금융당국은 이에 대해 지난 2~3월 증가한 주택거래 관련 대출이 본격적으로 실행되며 4월 주택담보대출 증가세로 이어졌고, 미국발 상호관세 발표 영향으로 주식시장 변동성이 커지자 자금수요 증가로 기타대출도 늘었다고 설명했다.
주담대는 4월 한 달간 4조 8000억 원 증가해 3월(3조 7000억 원)보다 증가 폭이 확대됐다. 기타대출은 3월에 3조 원 감소했던 것과 달리 4월에는 5000억 원가량 증가하며 증가세로 전환됐다.
특히 전월 1조 2000억 원 감소했던 신용대출이 4월에는 1조 2000억 원 증가해 전체 가계대출 증가를 견인했다. 증시가 급락하자 저가매수를 위해 대출수요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기타대출이 증가세로 전환된 것도 지난해 11월 이후 처음이다.
업권별로는 은행권 가계대출이 4조 8000억 원 증가해 전월(1조 7000억 원)보다 증가 폭이 확대됐다. 은행권 자체 주담대는 전월 7000억 원에서 1조 9000억 원으로 증가 폭이 확대됐고 정책성 대출도 1조 8000억 원에서 1조 9000억 원으로 늘었다. 기타대출 역시 신용대출 증가에 따라 3월 9000억 원 감소에서 1조 원 증가로 전환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3월 9000억 원 감소에서 4월 들어 5000억 원 증가로 반전했다. 저축은행과 보험사는 가계대출이 증가세로 전환됐고, 여신전문회사는 감소 폭이 축소됐다. 다만 상호금융권은 증가 폭이 4000억 원에서 2000억 원으로 다소 둔화됐다.
금융당국은 "3월에 비해 4월 가계대출이 다소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연간 가계대출 관리목표 등을 감안할 때 현재까지는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고, 5월 가정의 달 자금 수요, 3단계 스트레스 DSR(7월 1일 시행 예정) 적용 전 대출 수요 쏠림 등으로 인해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이에 금융당국은 "관계기관 간 긴밀한 공조 아래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월별·분기별·지역별 가계대출 모니터링 강화, 금융회사의 선제적 자율관리 유도 등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조치를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potgus@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