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저축은행 CEO 한자리 모은 금감원…'연체율 관리' 압박

부실 부동산 PF 정리 독려…OK저축은행 현장검사도
예보한도 상향 앞두고 선제 건전성 관리 목적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깃발이 휘날리고 있다. 2018.4.17/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서울=뉴스1) 김도엽 기자 = 금융감독원이 79개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 등을 대거 불러 모아 연체율 등 건전성 관리를 당부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여파가 여전히 지속되는 가운데 일부 저축은행은 연체율 관리 우수사례를 발표하며, 관리가 미진한 저축은행 대상 압박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금감원은 지난 19일 오후 2시 79개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 및 건전성 담당 임원·부서장 등을 서울 여의도 본원에 불러 '건전성 관련 강화 워크숍'을 개최했다. 워크숍은 한구 금감원 중소금융 부원장보가 주재했으며, 업계에서 약 200명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금감원은 연체율 등 건전성 관리를 집중 당부하는 한편, 하반기 저축은행 감독·검사 방향도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금감원은 79개 저축은행 대상 연체율 관리 목표치를 제출하라고 요구한 바 있다.

아울러 오는 9월 예금자보호한도 상향(5000만 원→1억 원) 시 '머니무브' 발생 가능성을 두고 선제적으로 건전성 관리에 나서려는 목적도 있다.

특히 이날 워크숍에선 업계 1위 SBI저축은행이 어떻게 건전성을 관리했는지 우수사례도 발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건전성 관련) 담당 임원, 부서장과는 주로 소통하지만 CEO와도 소통에 나서달라는 업계 건의 사항이 있었다"며 "실무자와 CEO간 느끼는 바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건전성 관리 우수사례를 소개하는 차원"이라고 했다.

워크숍에선 우수사례가 발표되는 등 '건전성'에 방점이 찍혔지만, 사실상 그렇지 못한 저축은행 대상 금감원이 압박에 나선 모습이다. 특히 일부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정리 속도가 지지부진한 부동산 PF 정리에 더 힘을 쏟으라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말 기준 79개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8.52%를 기록하며, 전년 6.55% 대비 2%포인트(p) 넘게 상승했다. 당기순이익은 3974억 원의 손실을 내며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금감원의 '부동산 PF 상황 점검회의' 자료에 따르면 저축은행업권의 PF 연체율은 내려가는 추세지만, 지난해 말 기준 7%대로 높은 수준이다.

PF 대출 잔액은 업황 부진으로 신규 대출이 사실상 이뤄지지 않았음에도, 여전히 7조 원 후반대다. 지난해 6월 말 기준 7조 8000억 원대의 PF 대출잔액은 9월 말 7조 9000억 원, 12월 말 기준으로는 7조 7000억 원대다.

부실 여파로 업권의 대손충당금은 지난해 말 기준 약 6조 3409억 원에 달한다. 지난해 3월 말 기준 6조 7448억 원 대비 소폭 줄었으나, 지난 2023년 12월 말 이후 5분기 연속 6조 원대다.

금감원은 올해 들어 저축은행중앙회를 중심으로 'PF 정상화 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경·공매 플랫폼 구축 등 PF 정리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나, 정리 속도는 더딘 편이다.

이에 금감원은 정리 속도가 지지부진한 저축은행 대상 현장검사에도 나섰다. 우선 이날 업계 2위 OK저축은행에 대한 현장검사를 시작으로, 하반기 PF 연체율이 개선되지 않는 다른 저축은행도 현장검사에 나갈 방침이다.

한편 금감원은 최근 저축은행업권에 올해 중 PF 정상화 펀드 등으로 2조 원의 부실 사업장을 정리하라고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분기 '3차 PF 정상화 펀드'의 경우 당초 목표액인 5000억 원 대비 3000억 원 미달한 2000억 원 조성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중 정리 목표치는 '1조 원'인데, 3차 펀드 당시 미달한 금액을 고려하면 4차 펀드(2분기 중 조성 목표)를 통해 8000억 원을 정리해야 하는 셈이다. 금감원은 하반기에도 PF 정상화 펀드를 통해 1조 원 규모의 추가 정리를 독려할 계획이다.

doyeop@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