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카드·캐피탈도 CEO 간담회…'내부통제' 강화 당부
금감원, 카드사 2곳·캐피탈사 4곳 CEO 소집
개인정보 보호·대출 등 내부통제 강화 독려
- 김도엽 기자, 박동해 기자
(서울=뉴스1) 김도엽 박동해 기자 = 금융감독원이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 소집에 이어 일부 여신전문금융회사(여전사) CEO를 소집한다. 최근 금감원으로부터 수시검사를 받은 업체가 대상이며 개인정보 유용 및 대출 연체 문제 등 내부통제 강화를 독려하는 차원이다.
20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오는 27일 여전사 6곳의 CEO를 불러 간담회를 진행한다. 우리·롯데카드 등 카드사 2곳과, 우리금융캐피탈 등 4곳의 캐피탈사 CEO가 대상이다.
지난 19일 79개 저축은행 CEO 대상 건전성 관련 강화 워크숍에 이어 업권 릴레이 성격의 간담회인 셈이다. 한구 금감원 중소금융 부원장보가 주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업체는 최근 금감원으로부터 수시검사를 받은 곳이다. 금감원은 후속 조치 차원에서 내부통제 강화를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검사 이후 후속 조치 차원에서 내부통제 당부를 위한 간담회로 알고 있다"고 했다.
일례로 앞서 우리카드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부터 134억 5100만 원의 과징금 철퇴를 맞았다. 신규 카드발급 마케팅이 가맹점주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이용해 '개인정보 보호법'을 위반한 것이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조사에 따르면 우리카드 인천영업센터는 신규 카드발급 마케팅을 통한 영업실적 증대를 위해 지난 2022년 7월부터 지난해 4월까지 카드가맹점 사업자등록번호를 가맹점 관리 프로그램에 입력해 가맹점주 최소 13만 1862명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휴대전화번호, 주소 등 개인정보를 조회했다.
특히 지난해 1월 8일부터 4월 2일까지는 1일 2회 이상 총 100회에 걸쳐 가맹점주 7만 5676명의 개인정보를 카드 모집인에게 이메일로 전달했다.
이렇게 최소 20만 7538명의 가맹점주의 정보를 조회해 카드 모집인에게 전달했고, 해당 정보는 우리신용카드 발급을 위한 마케팅에 활용됐는데 가맹점주 중 7만 4692명은 마케팅 활용에 동의한 사실이 없었다.
아울러 우리카드·우리금융캐피탈은 지난해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의 친인척 부당대출 의혹과 관련 금감원으로부터 수시검사도 받은 바 있다. 특히 금감원은 최근 SK텔레콤의 유심(USIM) 해킹 사태 상황 속 개인정보보호 강화 차원의 독려도 할 것으로 보인다.
롯데카드는 지난해 한 소매 렌탈업체를 대상으로 내준 매출채권담보 팩토링 대출에서 800억 원에 가까운 연체가 발생해, 지난 2월 금감원으로부터 수시검사를 받았다. 팩토링은 기업이 보유한 매출채권을 금융기관에 양도하거나 담보로 제공해 자금을 조달하는 금융서비스를 말한다.
롯데카드가 A사 대상으로 내준 팩토링 대출에서 786억 원의 부실이 발생한 것이다. 롯데카드는 이 중 588억 원의 대손충당금을 적립해놓은 상태다. 당시 금감원은 대출 연체 원인을 살피면서 내부통제 위반 가능성을 점검한 것으로 파악됐다.
doyeop@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