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보협회장 "치매·간병보험 가입자에 대한 세액공제 추진할 것"
이병래 "인구·기후·경제 등 리스크 요인에 대한 안전망 역할 확대할 것"
- 박재찬 보험전문기자
(서울=뉴스1) 박재찬 보험전문기자 = 이병래 손해보험협회장이 19일 치매·간병보험 가입자에 대한 세액공제 등의 인센티브 제공 방안을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이날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손해보험협회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치매·간병보험은 소득이 있는 청·장년기부터 미리미리 준비야 한다"며 "기존의 세액공제 상품처럼 치매·간병보험에도 세액공제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우리나라가 직면한 사회·경제 리스크 해소 및 금융 소비생활 혁신에 기여하기 위한 △사회 안전망 역할 확대 △지속가능성 확보와 소비자 신뢰도 제고 △보험 서비스 혁신 등 3대 핵심 전략을 추진한다.
우선 손보업계는 인구·기후·경제 등 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리스크 요인들에 대한 안전망 역할을 확대함으로써 국민들의 안정적인 삶의 기반 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저출산·초고령화와 같은 인구구조 변화에도 촘촘한 손해보험 보장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해외의 임신·출산 관련 상품에 대한 연구를 통해 난임치료 보장 및 산후조리지원 상품 등 출산 관련 신상품 개발을 활성화하고, 노인 돌봄 장기화로 인한 경제적 리스크 대비를 위해 요양 정책연계형 또는 현물급부형 간병보험 등 시니어보험 활성화와 보험금 청구권 신탁 대상 확대, 돌봄 시설 확충 지원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또 기후위기로 인한 재난발생, 소득상실 등이 기후취약계층에는 더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정부부처·지자체와 함께 기후보험 활성화에 노력하고, 소상공인·청년 등 경기불황 극복을 위한 포용적 보험을 확대해 나가고, 무인점포 이용자 피해보상보험과 같은 일상생활 위험 보장 보험의 저변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협회는 손보산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펀더멘탈 개선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소비자 신뢰 제고를 위한 사회적 책임도 적극 이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자동차보험과 실손의료보험이 앞으로도 대다수 국민에게 합리적인 가격으로 위험보장 기능을 계속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며, 자동차 경미사고에 대한 과잉진료 방지 방안을 마련하고, 비중증 과잉 의료로 인한 실손보험금 누수 방지를 위해서도 지속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그리고 고령자·비대면 보험가입 및 상담 편의성을 개선하고, 보험수수료 체계의 합리적 개편방안 마련도 지원한다. 보험산업의 ESG 활성화를 위해 인구·기후·경제위기 대비 공동 사회공헌활동을 확대 시행하고 공시 기준 도입을 지원하는 한편, 국회·정부와 공조해 교통사고 감소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끝으로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 변화에 대응한 보험 서비스 혁신 과제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소비자 니즈에 부합하기 위해, 다양한 보험상품을 한 번에 가입할 수 있고 보험 외 서비스도 연계 가능한 보험상품 구독서비스 도입 방안을 검토·마련할 계획이다.
디지털 데이터를 활용한 개인별 맞춤형 보험 서비스를 확대하고자 펫·요양·헬스케어 등 종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업무의 범위를 넓히는 한편, 의료·교통 등 비금융 마이데이터 활용을 확대하고, AI 기반 조성을 위한 표준 지침 마련도 추진해 나가고자 한다.
아울러 디지털 이니셔티브에 의한 인슈어테크 활성화를 통해 소비자 편익을 제고하기 위해 민원 사전예방 AI 시스템 구축하고, 단순 민원 건 협회 직접 처리를 추진하고, 청각·언어 장애인 대상 손말이음센터(한국정보화진흥원) 연계 상담 제공할 예정이다. 그리고 실손보험 청구전산화의 안정적인 확대 시행(의원·약국)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 회장은 "모든 위대한 성장과 발전은 위험 속에 이루어진다"며 "손해보험산업에 요구되는 시대적 역할과 책임을 충실히 수행하여 사회 안전망 강화에 기여하고, 지속가능한 보험산업의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jcppark@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