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손보, '가교 보험사' 설립 무게…향후 '계약 이전' 가능성
금융위, 14일 정례회의서 MG손보 '가교보험사' 설립해 정리 가닥
기존 MG손보 파산 수순…계약 최대한 유지에도 100% 보장 '글쎄'
- 박재찬 보험전문기자
(서울=뉴스1) 박재찬 보험전문기자 = 금융위원회가 MG손해보험의 처리방안으로 가교보험사 설립에 무게를 두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예금보험공사가 가교보험사를 설립하고 계속 경영하는데는 한계가 있는 만큼 자금지원을 통해 MG손보의 건전성을 개선한 이후, 다시 상위 5개 손해보험사로 '계약이전'을 추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르면 오는 14일 정례회의에서 MG손보의 가교보험사 영업을 인가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지난 3월 메리츠화재가 MG손보 우선협상자 지위를 포기한 이후 처리 방안에 대해 고민해 왔다. 가장 먼저 '청산'이 거론됐지만 MG손보 가입자 피해가 큰 만큼 금융당국은 다른 방안을 찾아 나섰다. 이에 대형 5개 손해보험사로 '계약이전'하는 방안도 거론됐지만, 이는 보험사들의 전산시스템 문제와 경영리스크 등으로 당장은 어렵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결국, MG손보는 처리를 위해 가교보험사를 설립하는 방안이 급부상했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 금융당국의 인가가 떨어지지는 않았지만, 조만간 금융위에서 MG손보 처리 방법에 대해 결정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는 가교보험사 설립이 가장 유력한 방안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가교금융기관은 부실금융기관을 정리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되는 임시 금융기관으로 기존 금융기관의 자산과 부채 등을 이전받게 된다. 과거 저축은행 사태 당시 금융당국은 가교저축은행을 설립하는 방식으로 부실 금융사를 해결한 전례가 있다. 하지만 가교보험사 설립은 이번이 처음이다.
금융위의 인가가 통과되면 예보는 가교보험사를 설립하고 예보기금자금지원을 통해 경영정상화에 나선다. 이에 따라 기존 MG손보는 사실상 파산 절차를 밟게 되고, MG손보 직원의 대대적인 구조조정도 예상된다.
특히 가교보험사가 최소 인력으로 계약을 관리하는 조직인 만큼 기존 영업조직 등 본사 인력의 상당 부분이 정리 대상이 될 전망이다. 또한 영업조직 정리는 MG손보 설계사 조직 해체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기존 가입자들의 계약은 대부분 유지될 전망이다. 하지만 가교보험사를 설립 이후 MG손보 계약이 100% 그대로 유지될지는 미지수다. 금융당국은 그동안 MG손보 처리방안을 두고 고민하는 동시에 계약을 유지하는 방법 등에서도 다양하게 논의해 왔다. 이는 가교보험사 설립에도 계약자들의 보장이 온전히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은 시사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가교보험사든, 계약이전이든 결정되기까지 MG손보 처리방안에 대해 말하기 어렵다"며 "어떤 결정이든 소비자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지만 계약을 보존하는 방식이나 범위 등에 대해서는 계속 논의 중이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가교보험사 설립 이후에 대해서도 주목하고 있다. 저축은행 사태로 설립된 가교저축은행들은 대부분 금융지주나 타금융사에 매각됐다.
하지만 MG손보의 경우 가교저축은행 보다 자산과 부채의 규모가 크고, 장기계약이 많아 오랫 동안 보험사고를 보장해야 하는 상황으로 타금융사로 매각은 어려울 전망이다. 금융권에서는 일단 가교보험사 설립 이후 부실계약 등을 예보가 정리한 이후 다시 대형 손보사로 계약이전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MG손보는 지난해 1433억 원의 적자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596억 원 적자가 확대됐고, 같은 기간 자본은 마이너스 1254억 원으로 자본잠식이 심각한 상황이다.
또 보험사의 주요 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K-ICS, 이하 킥스) 비율은 3.45%로 지난해 말 대비 60.6%포인트(p) 낮아졌다. 사실상으로는 보험금을 지급할 여력이 거의 없는 셈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당국 입장에서 당장 소비자 보호를 위해서는 가교보험사 설립이 가장 쉬운 방법으로 보이지만, 예보가 가교보험사를 계속 운영하기는 부담이 있는 만큼 추후에는 타금융사로 매각되거나 계약이전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만 MG손보의 경영상태가 심각하고, 영업조차 못 하는 상황에서 예보의 자금투입 말고는 건전성 재고 방안은 거의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jcppark@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