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오토노머스에이투지, '韓 최초' 싱가포르 자율주행 면허 취득

'정해진 경로·안전운전자 탑승' 조건
자율주행車 '로이' 현지 상용화 초석

오토노머스에이투지의 싱가포르 자율주행 M1 면허 취득 시험 현장<자료사진>(오토노머스에이투지 제공). 2025.05.13.

(서울=뉴스1) 김성식 기자 = 자율주행 스타트업 오토노머스에이투지(이하 에이투지)는 13일 한국 기업 최초로 싱가포르 국토교통부 산하 육상교통청으로부터 현지 공공도로 자율주행 운행을 위한 'M1' 면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싱가포르의 자율주행 면허는 기술 성숙도에 따라 운행 범위와 법적 규제 등이 차등 적용된다. 에이투지가 취득한 M1 면허는 제한된 환경의 정해진 경로 내에서 반드시 안전운전자가 탑승해야 한다. 안전운전자의 조건부 탑승이 필요한 면허는 M2, 완전 무인 단계는 M3로 구분된다.

한국에서 주행 시나리오 기반 기술을 검증하며 쌓은 실증 경험으로 이번 면허를 취득했다는 게 에이투지의 설명이다. 에이투지는 국내 자율주행 임시운행 허가 차량 455대 중 44대를 운행하며 62만㎞의 국내 최장 거리 도심 도로 실증 경험을 축적했다.

특히 좌핸들 국가인 한국 자율주행 기업이 우핸들 국가인 싱가포르에서 면허를 취득했다는 점은 에이투지 기술의 유연성을 보여준다는 설명이다. 핵심 알고리즘과 센서 구성, 판단 로직 등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반대 구조로 전환돼야 한다. 국내에선 이같은 기술을 검증할 공공 도로가 전무한 상황이었다.

에이투지는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이 무상 개방한 경기 화성 소재 자율주행 실험도시 'K-시티'를 활용해 우핸들 차량에 최적화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국내에서 선제 개발했다. 현지의 엄격한 규제는 세계 스타트업의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을 돕는 회사 킬사글로벌과 설립한 싱가포르 현지 합작법인 오토노머스투글로벌(A2G)를 통해 대응했다.

에이투지는 M1 면허 취득을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한국형 레벨4 자율주행차 '로이'(ROii)의 싱가포르 내 추가 실증 사업과 상용 서비스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 새로운 자율주행 평가 프레임워크를 발표한 육상교통청은 M1 면허 취득 후 무인 자율주행 운행 준비도 평가 'DRA'를 통과해야 안전운전자 없는 자율주행 운행이 가능하도록 했다.

한지형 에이투지 대표는 "이번 싱가포르 M1 면허 취득은 회사의 기술력과 신뢰성을 글로벌 시장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의미 있는 성과"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통해 M2, M3 인증을 추가 획득하고 국가 경쟁력 확보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에이투지는 글로벌 진출을 가속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싱가포르에 현지 합작법인 A2G를 설립하고 싱가포르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코스모'(COSMO)를 수주했다. 또한 A2G를 통해 아랍에미리트(UAE) 최대 AI 기업 G42 모빌리티 부문 자회사 스페이스42(구 바야낫)와 현지 합작법인 아부다비 오토노머스 드라이빙(A2D)을 설립하기로 하고 막바지 작업을 진행 중이다. 국내 기업이 중동 지역에 자율주행 합작사를 설립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seongskim@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