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철벽은 아니구나"…재계, 미중 극적 합의에 '안도'
美中, 관세율 115%p씩 낮추기로…90일 유예 속 추가 협상
재계 "관세 불확실성, 최악 피했다"…업종마다 셈법 제각각
- 최동현 기자, 김종윤 기자, 박주평 기자
(서울=뉴스1) 최동현 김종윤 박주평 기자 = 미국과 중국이 12일 양국 간 관세율을 115%포인트(p)씩 낮추기로 극적 합의하면서 경제계가 안도의 한숨을 내쉬고 있다. 90일 유예 기간이라는 단서가 붙긴 했지만 극한 갈등을 벌이던 미중이 일단 타협점을 찾았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경제계는 "관세 불확실성이 다소 해소됐다"는 평가와 함께 이번 합의가 한미 협상에 미칠 파장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한국무역협회는 이날 미중 공동성명이 발표된 직후 조성대 통상연구실장 명의 입장문을 통해 "미중 양국이 큰 틀에서 관세 철회 및 유예키로 하고 후속 협상을 이어나가기로 하면서 최악의 대치 상황을 벗어났다"며 "중간재 수출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 입장에선 글로벌 수요의 급감과 같은 불확실성이 해소돼 긍정적 측면이 많다"고 밝혔다.
미중은 지난 10~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협상을 벌인 끝에 양국 간 관세율을 나란히 115%p씩 인하하는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을 이날 채택했다. 이에 미국은 대중국 관세율을 종전 145%에서 30%로, 중국은 대미 관세를 종전 125%에서 10%로 각각 인하했다.
다만 이번 관세율 인하 합의는 '90일 유예'라는 조건이 붙었다. 미중은 이 기간 추가 협상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인데,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 언제든 세 자릿수 초고율 전쟁으로 회귀할 수 있어 불확실성 자체는 아직 남은 셈이다. 조성대 실장도 "유예 기간 향후 협상이 결렬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단서를 달았다.
재계는 미중의 추가 협상을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에 방점을 찍으면서도, 관세 불확실성이 다소 해소됐다는 안도감이 교차했다. 미국 관세 정책의 최종 타깃이 중국이라는 점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완화된 태도는 극도로 경색된 글로벌 공급망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서다.
재계 관계자는 "단순히 관세율이 125%에서 10%로 줄었다는 숫자 자체보다는, (미국과의) 국가별 협상에 따라서 관세 불확실성이 대폭 낮아지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미중 합의에서) 확인했다는 의미가 있다"며 "기업 입장에서는 '최악의 상황'을 피한 것이고, 한미 협상에 좀 더 기대를 걸 수 있게 된 계기"라고 평가했다.
반도체 업계도 긍정적인 반응이다. 반도체는 아직 품목 관세가 부과되지 않은 업종이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의 중국용 인공지능(AI) 가속기인 'H20'과 그래픽카드인 'RTX 5090D'의 수출을 통제하면서 해당 제품에 메모리를 공급해 온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간접적 유탄을 맞은 상황이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미중의 현재 스탠스(자세)가 발전된다면 미국이 유화적인 조치(중국 수출 통제 완화)에 나설 것이란 전망도 불가능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6일 트럼프 정부의 과도한 대중 수출 통제에 공개적으로 불만을 드러낸 바 있다.
배터리 업계는 신중한 반응이다. 낮아진 관세율만큼 저가 중국산 배터리의 미국 시장 유입으로 K-배터리의 경쟁력 가격 경쟁력이 악화할 수 있다. 하지만 거꾸로 저렴하게 원재료를 확보할 수 있는 긍정적 측면이 있어 득실을 따져봐야 한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K-배터리사 모두 중국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며 "밸류체인 내에서 저렴하게 중국산 소재를 확보한다면 배터리 가격이 낮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dongchoi89@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