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K-디스플레이, 작년 매출 13.3%↑…中 공세, OLED로 뚫었다

고부가 OLED 중심 매출 성장…점유율 0.1%p 하락 방어
트럼프 관세 정책 '변수'…"디스플레이 특별법 마련해야"

'2025 디스플레이산업 주요 통계'(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제공)

(서울=뉴스1) 최동현 기자 =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이 지난해 중국의 저가 공세에도 고부가가치 제품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집중하며 전년 대비 13% 넘는 매출 성장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가 17일 발표한 '디스플레이산업 주요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패널기업 매출액은 442억 달러(약 63조 원)로 전년 대비 13.3% 증가했다.

기술별 매출액은 OLED가 362억 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5.1% 증가했고, 액정표시장치(LCD)는 79억 3000만 달러로 전년보다 5.9% 늘었다.

애플 아이패드에 OLED가 처음 적용되고 인공지능(AI) 수요 증가로 저온다결정산화물(LTPO) OLED 수요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국의 전체 OLED 매출 비중은 2021년 69%에서 지난해 82.1%로 증가하며 OLED 중심 전환이 가속화하고 있다.

다만 지난해 글로벌 시장에서 K-디스플레이의 점유율은 33.1%로 전년 대비 0.1%포인트(p) 하락했다. 같은 기간 중국의 점유율은 48.1%에서 50.8%로 2.7%p 상승, 과반을 차지했다.

대만은 14.6%, 일본은 1.1%로 전년 대비 각각 2.1%p, 0.6%p 감소했다.

협회는 "중국 기업들이 정부 보조금을 기반으로 수요를 초과하는 물량을 공급하고 있으며, 철강 산업에 국한됐던 공급 과잉 문제가 스마트폰과 전기차 등 첨단 산업으로 확산하고 있다"며 "한국은 고부가 OLED 분야에 집중해 비교적 잘 방어했다"고 설명했다.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사장이 7일 오전 서울 서울 강남구 '삼성 강남' 플래그십 스토어에서 열린 '삼성전자 AI TV Unbox & Discover 2025 미디어데이'에서 115형 네오 QLED TV를 소개하고 있다.. 2025.4.7/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지난해 글로벌 OLED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26.2% 증가한 540억 달러를 기록했다.

한국은 글로벌 중대형 OLED 확산과 AI 본격화에 따른 저전력 OLED 수요 증가로 OLED 매출은 늘었다. 하지만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의 글로벌 비중 확대, 자국산 부품 우선 적용 등으로 점유율(67.2%)은 전년 대비 6.4%p 줄었다.

세부적으로 한국의 스마트폰 OLED 패널 점유율(62.8%)은 중국 비중이 줄어들며 전년 대비 9%p 감소했다. 자동차 OLED 패널 점유율(76.1%)도 중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 여파로 5.5%p 줄었다.

다만 OLED TV는 8세대 OLED 팹을 가진 한국 기업이 독점생산으로 100% 점유율을 유지 중이다. OLED 태블릿 공급 비중도 전년 대비 15.6%p 증가한 69.3%를 기록했다.

LCD의 경우 지난해 글로벌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6.3% 증가한 792억 달러를 기록했다. 공급 과잉에 따른 업황 악화로 한국 패널 기업들이 생산을 축소하면서 점유율은 0.1%p 감소한 10.0%를 기록했다.

올해 디스플레이 시장은 IT 제품의 OLED 채택과 자동차 디스플레이 확대 등으로 지난해 대비 4.6% 증가한 1393억 달러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다. OLED는 6.5% 증가한 575억 달러, LCD는 3.3% 증가한 818억 달러로 예측된다.

LG전자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에 가로 7.2m, 세로 2.7m 규모의 LG 매그니트가 설치됐다. LG 매그니트는 머리카락 두께보다 얇은 10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마이크로 LED가 스스로 빛과 색을 내는 자발광(自發光) 디스플레이다. (LG전자 제공) 2025.2.6/뉴스1

다만 미국 트럼프 행정부발(潑) 관세 정책은 변수다.

특히 중국에는 애플과 델, HP 등 미국 세트(완제품) 제품을 생산하는 조립기업이 있어 대중 관세 정책이 장기화할 경우 미국 고물가 영향으로 전자제품과 패널 수요가 감소하면서 디스플레이 실적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올해 중국 정부가 이구환신(以舊換新·낡은 제품을 새것으로 교체) 보조금 적용 범위에 태블릿 PC와 스마트폰, 스마트워치를 추가한 데다 미중 무역 분쟁에 따른 자국 제품 선호가 뚜렷해질 것으로 예상돼 중국의 공세는 더욱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동욱 협회 부회장은 "업계가 고민하는 글로벌 점유율 고착화를 탈피하려면 듀폰, UDC 등 미국 기업과의 협력도 모색해야 할 시점"이라며 "OLED 고효율 가전 교체 지원사업 등 내수진작뿐 아니라 세액공제 이월 기한 추가 연장, 직접 환급제 등 국내 기업을 지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특별법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dongchoi89@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