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극의 퀀텀닷'부터 '미래차'까지…삼성·LG, 초격차 OLED 뽐낸다
삼성디스플레이·LG디스플레이, 美 SID 2025 동시 참가
- 최동현 기자
(서울=뉴스1) 최동현 기자 = '디스플레이 양강'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13~15일(현지 시간) 미국 새너제이에서 열리는 '디스플레이 위크 2025'(SID 2025)에 나란히 참가해 초격차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기술력을 뽐낸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궁극의 퀀텀닷'으로 불리는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인 'EL-QD'부터 올해 초 해외 학술지에 등재한 '센서 OLED 디스플레이', 2만 니트 'RGB 올레도스'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들을 총망라해 소개한다.
LG디스플레이는 강점인 대형·중형·차량용을 아우르는 OLED 풀라인업을 앞세운다. 독자 기술인 '프라이머리 RGB 탠덤'과 'DFR'부터, 4세대 OLED,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와 P(플라스틱)-OLED 등 신기술을 집약한 미래 콘셉트카도 선보인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선보이는 'EL-QD'는 전년보다 성능을 대폭 개선했다. EL-QD는 차세대 무기발광 기술이 집약된 제품이다. 현재 상용화된 QD-OLED가 OLED에서 나온 빛이 QD 발광층을 통과하며 색을 만들어내는 '광발광' 방식이라면, EL-QD는 OLED 없이 전기신호가 직접 QD로 구성된 R·G·B 픽셀을 빛내는 '전계발광' 방식이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올해 공개한 EL-QD는 400니트 고휘도 제품과 264PPI 고해상도 제품 2종이다. 고휘도 제품은 작년에 공개한 제품(250니트) 대비 화면이 50% 이상 밝아졌다. 지금까지 공개된 제품 중 최고 밝기로 지난해 공개한 EL-QD 제품(202PPI)보다 한층 높아진 264PPI에 달한다.
삼성디스플레이 부스에선 올해 초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소개된 '센서 OLED 디스플레이'도 실물로 만날 수 있다. 이 기술은 특정 부분이 아닌 화면 전체에서 지문을 인식하고 빛으로 혈류량을 측정해 심혈관 건강 상태까지 확인할 수 있는 삼성디스플레이만의 혁신 기술이다.
손가락으로 패널 어디를 터치하든 지문 인식은 물론 사용자의 심박수, 혈압, 스트레스 수준 측정 및 심방세동 감지까지 가능하다. OLED 빛이 손가락 내부 혈관의 수축·이완 상태에 따라 다르게 반사돼 패널로 돌아오면 이를 유기광다이오드(Organic Photodiode, 이하 OPD)가 인식해 건강 정보로 바꿔 보여주는 원리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현존 최고 밝기를 구현한 RGB 올레도스도 최초 공개한다. 무려 2만 니트(4200ppi)에 달해 지난해 SID와 올 초 CES2025에서 각각 선보였던 5000니트, 1만 니트 RGB 올레도스보다 성능이 두 배 이상 진일보했다. 올레도스는 실리콘 웨이퍼 위에 유기물을 증착해 픽셀 크기를 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구현한 초고화질 디스플레이로 XR 헤드셋의 핵심 부품이다.
이 밖에도 마이크로LED 기반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브리프케이스, 폴폴리건 폴더블등 다양한 폼펙터 디스플레이 기술도 공개한다. 이창희 디스플레이연구소장(부사장)은 "학계, 시장과 적극 소통하며 고객이 원하는 설루션을 가장 먼저 선보이며 기술의 변화를 주도할 것"이라고 했다.
LG디스플레이는 전시장을 3개 존으로 나눠 △대형 OLED 기술 △차량용 디스플레이 설루션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을 한눈에 선보인다.
대형 OLED 존에서는 4세대 OLED 패널의 우수성과 이를 적용한 TV 및 게이밍 패널을 앞세운다. LG디스플레이의 4세대 OLED 패널은 RGB 소자를 독립적으로 쌓아 빛을 내는 독자 기술인 '프라이머리 RGB 탠덤' 구조를 적용했다. 이를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인 최대 휘도 4000니트를
달성했다.
LG디스플레이는 4세대 OLED 패널로 AI TV부터 게이밍 OLED 등 프리미엄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4세대 OLED TV 패널'은 압도적 화질로 낮은 해상도의 콘텐츠를 고품질로 변환시키는 업스케일링 등 AI TV 기능을 완벽히 구현한다. 또 소자 구조 및 전력 공급 체계를 개선해 에너지 효율을 기존 대비 약 20%(65인치 기준) 개선했다.
세계 최고 해상도로 최상의 게이밍 경험을 제공하는 '45인치 5K2K 게이밍 OLED'도 공개했다. 45인치 대화면에 약 1100만개 픽셀이 촘촘하게 배열돼 뛰어난 화질을 구현하며, 영화관 스크린과 유사한 21:9 비율로 차원이 다른 몰입감이 특징이다.
하나의 모니터로 게임부터 영화 감상까지 다양한 콘텐츠에 최적화할 수 있는 LG디스플레이의 독자 기술 'DFR'도 주목할 기술이다. 콘텐츠에 따라 고주사율 모드와 고해상도 모드 중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존에서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설루션과 P-OLED, 어드밴스드씬 OLED(ATO) 하이엔드 LTPS(저온다결정실리콘) LCD 등 LG디스플레이만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풀라인업을 적용한 콘셉트카를 공개한다.
이 밖에도 △SDV(소프트웨어중심차량)에 최적화된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콘셉트카 △16인치 노트북용 네오 엘이디(Neo:LED) 패널 △의 41%를 친환경 소재로 제작한 '14인치 노트북용 패널' 등 친환경·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도 만날 수 있다.
윤수영 LG디스플레이 최고기술책임자(CTO·부사장)는 "미래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도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창출하며 기술 리더십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dongchoi89@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