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보틱스, 휴머노이드 R&D 플랫폼 '로봇 이노베이션 허브' 개소
상반기 첫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웨어러블→휴머노이드 도약
MIT·KIST 협업해 AI·로봇 개발…"인간 수준 범용 로봇 개발"
- 최동현 기자
(서울=뉴스1) 최동현 기자 = 위로보틱스는 15일 충남 천안에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개발(R&D) 플랫폼인 '로봇 이노베이션 허브'를 개소했다고 밝혔다. 올 상반기 첫 번째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를 앞두고 휴머노이드 로봇 전문기업으로의 도약을 본격화했다.
'로봇 이노베이션 허브'는 위로보틱스가 한국기술교육대학교와 공동으로 설립한 연구시설로,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위한 기술 개발 및 협업을 위한 첨단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위로보틱스는 보행보조 웨어러블 로봇 '윔'(WIM)과 '윔S'을 출시하며 업계 주목을 받은 라이징 스타다. 특히 윔은 지난해 공식 출시를 하기 전부터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에서 혁신상을 받으며 화제를 모았다.
위로보틱스는 올 상반기 '고자유도 로봇핸드'와 '상반신 휴머노이드'를 공개하고 웨어러블 로봇 중심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전문기업으로 탈바꿈한다는 이정표를 세웠다. 그 첫걸음이 로봇 이노베이션 허브다.
위로보틱스는 "본격적인 휴머노이드 시대를 준비하려면 기존 기술의 조합만으로는 로봇 개발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파악하고, 근본적으로 새로운 요소품, 메커니즘, 모션플래닝, 제어방식, 머신러닝 패러다임의 변화를 위한 허브로서 기능할 수 있는 센터를 준비해 왔다"고 설명했다.
'로봇 이노베이션 허브'는 인공지능(AI)과 로보틱스의 시너지를 창출하는 R&D 플랫폼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현재 글로벌 로봇업계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성공을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에 접목하려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물리적 상호작용의 한계, 데이터 부족, 시뮬레이션-현실 전이(SIM-to-Real Gap) 등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에 물리적 지능(physical intelligence)에 적합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로봇 하드웨어를 개발하고 정확하고 확장된 물리적 데이터 수집 방식을 제안,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융합하는 머신러닝을 구현함으로써 AI와 휴머노이드의 시너지 창출을 견인할 예정이다.
'개방형 협업 생태계' 구축도 허브의 주요 목표 중 하나다. 위로보틱스는 미국 매사추세츠 공대(MIT), 일리노이 대학-어바나-샴페인(UIUC), 매사추세츠대 애머스트(UMass),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등 국내외 연구기관과 협업해 공동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피지컬 AI 스타트업 리얼월드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래퍼런스 휴머노이드 로봇을 제공한다.
위로보틱스는 "최종 목표는 인간 수준의 능숙함과 유연성, 자율적 판단 능력을 갖춘 범용 로봇의 개발"이라며 "휴머노이드 로봇 플랫폼 개발 및 고성능 제어 전문가인 조세형 박사와 휴머노이드 및 협동 로봇 개발 전문가 이광규 연구소장 등 인재 영입도 활발히 진행 중"이라고 했다.
김용재 위로보틱스 공동대표는 "이제 로봇은 자동차, 스마트폰과 함께 일상을 혁신하는 '키플레이어'가 될 것"이라며 "로봇 이노베이션 허브를 통해 인간의 옆에서 인간을 돕는 수준의 휴머노이드 로봇 생태계를 주도할 것"이라고 했다.
dongchoi89@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