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70일 전부터 예고됐던 '관세 폭탄'…각자도생에 내몰린 韓 기업

트럼프, 상호관세 부과 방안 발표 예정…정부, 민간과 TF 회의 개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열린 경제안보전략 TF 회의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태열 외교부 장관,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한 권한대행, 최태원 SK회장, 구광모 LG회장,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 (총리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4.1/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서울=뉴스1) 박기호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전부터 전 세계를 상대로 예고했던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가 이르면 2일 윤곽을 드러낸다. 그간 계엄·탄핵 정국에서 허우적거린 대한민국은 별다른 대책을 세우지 못했고 결국 기업들은 각자도생의 길에 내몰렸다.

관세 폭풍의 직간접적인 영향권에 노출된 국내 기업들은 별다른 대응책을 세우지 못한 채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 정부는 상호 관세의 구체적인 내용을 토대로 국내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미국과 추가 협상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협상 결과를 장담하기 어렵고 협상 종료까지 기업들은 관세 폭탄을 온몸으로 감내해야 하는 상황이다.

트럼프, 상호 관세 발표 D-1…기로에 놓인 韓 기업

1일 외신에 따르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미국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상호관세의 발표는 미 동부 시간 4월 2일 오후 3시(한국 시간 3일 오전 4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2일 백악관 로즈가든 '해방의 날' 행사에서 상호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 중인 상호 관세는 교역 대상국이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와 비관세 무역 장벽을 모두 조사한 후 이에 상응한 맞불형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겠다는 것이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의 형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는데 아직 윤곽은 드러나지 않은 상태다. 다만 우리나라가 미국의 무역 적자국 8위에 해당하기에 관세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는 의견이 다수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전부터 관세 부과를 꾸준히 시사했지만 우리 정부는 별다른 대응을 하지 못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최근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을 잇달아 만나 우리 측 입장을 전달했지만 별다른 소득은 없었다는 평가다. 210억 달러(약 31조 원) 규모의 대규모 미국 투자 계획을 발표했던 정의선 회장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국내 정·재계를 통틀어 처음으로 트럼프 대통령과 면담한 인사일 정도다.

ⓒ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정부, 부랴부랴 대책 논의…美와 협상 준비 돌입 예정

발등에 불이 떨어진 정부는 1일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를 발족, 대책 마련에 나섰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이날 서울 종로구 삼청동 국무총리 공관에서 TF 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다.

정부와 민간이 힘을 합쳐 통상위기 극복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을 기점으로 하면 70여일 만에 정부와 민간이 대책을 논의하는 자리가 만들어진 셈이다.

회의에는 정부 측에선 한 권한대행을 비롯해 최상목 기획재정부·조태열 외교부·안덕근 산자부 장관과 성태윤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등이, 민간에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TF 발족을 통해 미국과의 협상에 대비하고 정부는 기업의 투자와 혁신을 장려하기 위한 조치를 본격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 차원의 대응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하면서 기업들은 각자도생해야 하는 처지가 됐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현지 투자를 통해서 (관세 문제를 해결해) 가자, 혹은 다른 방법으로 면제를 받을 수 있는 다른 카드를 던지자. 혹은 그냥 관세를 맞아도 물건을 팔겠다는 생각을 가질 수도 있는 것 아니겠느냐"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만족할 만한 대규모 투자나 유인책을 제시해 관세 장벽을 회피하거나 혹은 미국의 정책에 따라 인상된 관세를 부담하는 방식 중에 기업들이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게다가 기업들은 별다른 대책조차 세우지 못하고 있다. 대한상의가 전국 제조업체 2107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미국의 관세정책 대응 수준'에 대해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는 45%, '생산비용 절감 등 자체 대응책을 찾고 있다'는 29.0%, '대응계획이 없다'는 20.8%였다. 반면 '현지생산이나 시장 다각화 모색' 등 근본적인 해법을 준비 중인 기업은 3.9%에 그쳤다. 또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협력사와 중소기업은 직간접적 영향권이 예상되는 곳도 '대응계획이 없다'는 응답이 24.2%로 4분의 1에 달했다.

goodday@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