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저소득층 식료품 체감물가 10년간 42% 급등…전체 물가상승률 2배

한경협 2014~2024년 소득분위별 소비자 체감물가 분석
저소득층일수록 체감 물가 상승률 높아

21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사과가 진열돼 있다. 2025.3.21/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서울=뉴스1) 금준혁 기자 = 최근 10년간 소비자 체감물가를 분석한 결과 저소득층일수록 체감물가 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출 비중이 높은 식료품 체감물가가 전체 물가상승률의 2배에 달해 저소득층의 부담을 가중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일 최근 10년간(2014년~2024년) 소득분위별 소비자 체감물가 상승률 추이를 분석한 결과 △1분위 23.2% △2분위 22.4% △3분위 21.7% △4분위 20.9% △5분위 20.6%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1분위는 소득 수준이 가장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2019년부터 2024년까지 6년 중 2022년을 제외하고 1분위의 체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분위보다 매년 높았다.

소득 1분위는 식료품·비주류음료(20.9%), 주택·수도·광열(20.0%), 보건(12.6%) 등 생존과 직결된 영역에 지출이 집중돼 있었다. 특히 10년간 식료품 물가는 41.9% 상승해 같은 기간 전체 물가상승률 21.2%의 약 2배에 달했다.

반면 소득 5분위는 교통(13.0%), 교육(10.5%), 오락·문화(9.0%) 순으로 지출 비중이 높았다. 해당 품목의 물가상승률은 각각 5.3%, 10.6%, 9.2%로 전체 물가상승률(21.2%)을 크게 밑돌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10년간 먹거리 물가가 크게 상승하면서 취약계층의 체감물가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며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농산물 수급 안정화 대책을 마련하고 유통규제를 개선하며 농산물 수입 다변화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소득 1분위, 5분위의 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품목 물가상승률(한경협 제공)

rma1921kr@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