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여성 평균 연봉 7405만원…남성 임금 70% 사상 첫 돌파
남성 연봉 평균 1억561만원…성별 임금 격차 여전
- 박기호 기자
(서울=뉴스1) 박기호 기자 = 국내 대기업 여성 평균 임금이 처음으로 남성의 7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근속연수와 비교하면 여전히 성별 임금 격차가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500대 기업 남녀 직원 평균 연봉 및 근속연수 현황을 조사한 결과, 2024년 기준 여성 평균 연봉은 7405만 원으로, 남성(1억 561만 원)의 70.1% 수준으로 집계됐다.
여성 평균 임금은 2022년 남성 평균 임금의 66.9%, 2023년에는 68.6%를 기록하는 등 남녀 임금 격차는 매년 줄고 있다.
여성의 평균 근속연수는 9.2년으로 남성(11.9년)의 77.3%에 해당했지만, 연봉 수준은 70.1%에 그쳤다.
리더스인덱스는 "대기업 여성 비율은 전체 직원의 26.4%에 불과한 데다, 그마저도 이들 대부분이 낮은 직급에 머무르고 있다는 현실을 방증한다"며 "조직 내 지위와 보상 체계에서의 성별 불균형이 여전하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특정 산업군에서 남녀 격차는 뚜렷했다. 상사, 증권, 보험, 운송, 은행 분야에선 여성의 근속연수가 남성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긴 경우에도 연봉 격차는 더 컸다. 특히 증권을 제외한 이들 업종에서는 근속연수 대비 연봉 격차가 전년보다 더욱 벌어졌다.
상사업은 여성의 평균 근속연수는 11.3년으로 남성(10.1년)보다 길었지만, 평균 연봉은 7000만 원으로 남성(1억 1510만 원)의 60.8% 수준에 불과했다.
증권업 역시 여성의 근속연수(10.8년)가 남성(10.3년)을 앞섰지만, 연봉은 남성(1억 5200만 원)의 65%인 9900만 원에 머물렀다. 보험업은 남녀 근속연수가 각각 13.0년과 13.1년으로 거의 차이가 없지만, 여성의 연봉은 8800만 원으로 남성(1억 3100만 원)의 67.5%였다.
운송업은 여성의 근속연수(9.5년)가 남성(10.2년)의 92.6% 수준이었지만, 연봉은 6400만 원으로 남성(9700만 원)의 66.2%였다. 은행업은 평균 근속연수가 남성 15.4년, 여성 14.5년으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연봉은 남성이 1억 2800만 원으로 여성(9700만 원)보다 24.5% 많았다.
평균 연봉에서 남녀 차이가 거의 없는 기업도 있다. 서연이화와 세아창원특수강은 남녀 평균 연봉이 각각 1억 1300만 원, 8500만 원으로 동일했다. 풍산은 남성 9282만 원, 여성 8974만 원으로 격차가 미미했다. 현대케피코는 남성 1억 1800만 원, 여성 1억 1400만 원으로 96.6%, 에코프로비엠은 남성 6100만 원, 여성 5800만 원으로 95.1% 수준의 비교적 작은 격차를 보였다.
서비스, 에너지, 유통 업종에서도 여성의 평균 근속연수가 남성의 80% 이상으로 긴 편이었으나, 평균 연봉은 각각 75.6%, 70.4%, 68.8% 수준으로 낮아 성별에 따른 격차가 여전했다.
남녀 근속연수 차이가 적으면서도 전체 근속연수가 가장 긴 기업은 신한카드였다. 이 회사 평균 근속연수는 19.3년으로, 남성(19.0년)보다 여성(19.6년)이 더 길었다. 에코플라스틱(18.7년), 대한항공(18.4년), 에이비엘생명보험(18.0년),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17.9년) 등도 평균 근속연수가 길게 나타났다.
근속연수가 20년 이상인 기업은 KG모빌리티(23.0년), 에스제이지세종(22.3년), 기아(21.8년), KT(20.5년), SK인천석유화학(20.0년) 등으로 조사됐다. 이들 기업은 남녀 간 격차가 3.3년에서 최대 16.0년까지 차이를 보였다.
goodday@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