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10개사, 소상공인 3000→30곳 솎아내 기획전 열어준다
플랫폼-소상공인-정부 파트너십…온라인 판로 확대 돕는다
민간 플랫폼, 소상공인 직접 선발…3단계 걸쳐 맞춤 지원
- 장시온 기자
(서울=뉴스1) 장시온 기자 = 민간 온라인 플랫폼 10개사가 소상공인 3000곳을 직접 선발하고 3단계 선별 과정을 거치며 온라인 판로 확대를 돕기로 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한국중소벤처기업유통원(한유원)은 18일 웨스틴조선서울 호텔에서 분야별 민간 플랫폼사 10곳·온라인 셀러 우수 소상공인 등 70여명과 함께 'TOPS 선포식'을 열었다.
TOPS는 '온라인 브랜드 소상공인 육성사업'의 약자다. 민간 플랫폼사가 발전 가능성이 높은 유망 브랜드 소상공인을 직접 발굴하고 1대1 매칭으로 자원을 투입해 온라인 판로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참여 플랫폼사는 분야별로 △(종합) SK스토아·그립컴퍼니 △(식품) SSG·현대홈쇼핑·지마켓·카카오 △(패션·뷰티) 롯데온·무신사 △(숙박·음식) 우아한형제들·여기어때컴퍼니 등 10곳이다.
사업은 총 3단계로 진행한다. 1단계는 플랫폼사가 직접 선발한 소상공인 3000개사에 1대1 맞춤형 상담(컨설팅)을 지원한다.
2단계는 1단계에서 선발한 소상공인 중 300개사를 다시 선별한다. 이들에게 판매 활성화 및 매출 극대화를 위한 광고, 물류비용 등 판촉 비용을 지원하고, 전용자금(시설 자금 최대 10억 원 등)도 지원한다.
3단계는 2단계 300개사에서 '올해의 TOPS' 30개사를 다시 선정한다. 이후 특별기획전과 오프라인 반짝매장(팝업스토어)등 소상공인이 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수행기관인 민간 플랫폼사도 정부 지원과 별개로 자율적으로 구성한 맞춤형 특화 프로그램을 단계별로 소상공인에 제공할 예정이다.
이날 선포식에서 수행기관으로 선정된 10개 플랫폼사와 한유원은 'TOPS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후 주요 플랫폼사 MD와 우수 셀러 소상공인들은 '온라인 판로의 중요성과 플랫폼의 역할'을 주제로 토크콘서트를 진행했다.
수행기관으로 선발된 10개 플랫폼사 중 SSG과 SK스토아 등 2개 플랫폼사는 향후 추진할 소상공인 맞춤형 특화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식품 분야로 분류되는 SSG은 페이지 제작, 메인 배너 노출, 외부 광고 및 수수료율을 인하하고 협력사별 전담 MD를 배치하겠다고 밝혔다. SSG식품전 부스 운영, SSG 관계사 활용을 통한 오프라인 판로 확대 기회도 제공한다.
종합 분야로 분류되는 SK스토아는 SK멤버십 등 그룹사 판매채널을 통해 온라인 판로 확대를 지원할 예정이다. SK그룹사의 마케팅 리소스 및 제휴 OUT 구좌를 활용할 수 있게 하고, TV PPL 연계 홈쇼핑 진행을 통해 판촉 행사를 지원한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TOPS 프로그램을 통해 플랫폼-소상공인-정부 파트너십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고자 한다"며 "소상공인이 소기업까지 성장하는 모델을 만든다면 온라인 플랫폼 생태계의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세한 사항은 중기부 누리집 또는 판판대로 누리집 내 사업 공고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zionwkd@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