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올해 보안 트렌드 "CCTV 해킹 방어…산재 막을 AI CCTV"

에스원 보안사고 분석 및 고객 설문…"얼굴인식 우회 방어해야"

(에스원 제공)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올해 보안 시장에서 각광받을 트렌드로 △폐쇄회로(CC)TV 보안 강화 △인공지능(AI) CCTV 구축 증가 △홈 보안 설루션 보급 확대 △얼굴인식 설루션 고도화 등이 제시됐다.

에스원은 이런 전망 등을 담아 '2025년 보안 트렌드'를 15일 발표했다. 각종 보안사고 동향 분석에 더해 지난달 총 2만 910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 기반한다.

최근 저가형 인터넷 연결 카메라(IP 카메라) 해킹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CCTV 보안 강화의 필요성이 커졌다. 지난해 1월에는 국민 사생활 영상 4500여건이 무단 유포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설문에 따르면 예방책으로 '보안 인증(TTA)을 받은 CCTV 설치'(57%), '검증된 업체의 CCTV 구매'(32%), '주기적인 녹화기 비밀번호 변경'(10%) 등이 꼽혔다.

정부 역시 CCTV 보안 강화를 골자로 법 개정에 나섰다. 앞으로 IP카메라 제품을 제조할 때 높은 수준의 비밀번호 설정 기능이 의무화된다. 관공서·병원·쇼핑센터 등 다중이용시설에선 보안 인증을 통과한 IP카메라만 설치해야 한다.

AI CCTV의 경우 산업재해 예방 목적으로 수요가 늘 전망이다. 최근 리튬 배터리 공장 폭발 등으로 인해 산업 안전 사고를 향한 사회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 역시 증가 추세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산업재해로 인한 손실 추정액은 18조 6200억원에 달한다.

5인 이상, 50인 미만의 사업장에도 중대재해처벌법 등이 적용되면서 AI CCTV, 사물인터넷(IoT) 등에 기반한 스마트 안전 시스템이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밖에도 묻지마 폭행과 불특정 다수를 겨냥한 테러 사건이 최근 주거 시설 내 잇따라 발생하며 주거지 보안 수요도 확대될 전망이다. 지난해 경찰청에 따르면 전체 강력 범죄(살인·강도·방화 등)의 26%, 전체 살인 사건 중 62.5%가 주거 시설에서 일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가정에 도입하고 싶은 보안 설루션은 현관 앞 CCTV(59%), 무인경비 시스템(26%), 실내용 CCTV(10%) 순으로 꼽혔다. 특히 최근 수요는 단순 도어락에 머무르지 않고 AI CCTV, IoT 센서 등 첨단 설루션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게 회사의 분석이다.

얼굴인식 설루션은 출입 통제, 스마트폰 잠금 해제, 결제 인증 등 일상 곳곳에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얼굴인식 기반 공항 출국, 공연장 입장 등이 대표적이다.

문제는 이를 우회하려는 위조 얼굴 공격도 증가 추세란 점이다. 미국 생체인증 기술전문 매체 '리브니스닷컴'에 따르면 2019년 이후 위조 얼굴 공격은 매년 10% 이상 증가하고 있다.

얼굴 인식 시스템이 보편화된 중국에서 3D 프린터로 제작한 마스크로 얼굴인식 결제 시스템을 속이는 영상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에스원은 얼굴인식 설루션의 지속적인 업그레이드가 필수적이라고 제언했다.

legomaster@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