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구글, 북한·중국·러시아·이란 '사이버 위협 빅4'로 지목

'사이버 범죄:다면화되는 국가 안보 위협' 보고서 발표
"북한 운영자금 확보 위해 암호화폐·블록체인 강탈 집중"

사이버 범죄: 다면화 국가 안보 위협(Cybercrime: A Multifaceted National Security Threat)

(서울=뉴스1) 김민석 기자 = 북한·중국·러시아·이란 등이 국가 운영자금 확보 등 금전적 이득을 얻기 위해 사이버 범죄를 조직적으로 활용하는 '빅4'로 지목됐다.

구글클라우드시큐리티는 이달 14일~16일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뮌헨안보회의를 앞두고 구글위협인텔리전스그룹이 '사이버 범죄: 다면화 국가 안보 위협'(Cybercrime: A Multifaceted National Security Threat)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진은 "북한 사이버 위협 행위자들은 정부 운영자금 확보 등 금전적 이익을 얻기 위해 암호화폐·블록체인 강탈에 집중하고 있다"며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을 사칭한 악성 애플리케이션 또는 피싱 웹사이트를 퍼트리고 있다. UN이 2024년 3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이같은 방식으로 2017년~2023년 사이 약 30억 달러 규모를 훔쳤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 역시 금전을 노리고 공격을 수행하는 사이버 범죄조직을 이용해 국가 차원의 첩보 행위를 은폐·강화하고 있다"며 "러시아의 경우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작전상 압박과 자원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첩보·교란 도구와 인력을 사이버 범죄 커뮤니티에서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각국 정책 결정권자들이 사이버 범죄 위협을 국가 안보 위협으로 격상시켜 대응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벤 리드 구글위협인텔리전스그룹 시니어 매니저는 "국가 차원의 해킹은 방대한 사이버 범죄 생태계로부터 멀웨어·보안취약점, 경우에 따라선 전체 작전까지 제공받으며 극심해지고 있다"며 "국가가 직접 공격수단을 개발하는 것보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향후 정부의 개입을 부정하기 쉽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ideaed@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