닐슨도 바꾼다…"韓, 이제라도 통합시청률 논의해야"
한국방송학회 세미나…"정부가 중재자 역할 맡아야"
- 양새롬 기자
(서울=뉴스1) 양새롬 기자 =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중심으로 국내 유료방송 생태계 패러다임이 변하는 상황에서 하루빨리 '통합시청률'을 논의해야 한다는 전문가 주장이 나왔다.
방송사의 재원은 기본적으로 광고이고, 시청률이 바로 그 광고 판매의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유승철 이화여대 교수는 한국방송학회가 13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연 '유료방송 생태계 발전과 통합시청률 조사의 제도화 방안' 기획세미나에서 발제를 통해 "전통적 시청률 조사는 표본의 한계와 실시간 데이터 부재, 스트리밍 데이터 누락 등의 한계를 갖는다"며 이같이 밝혔다.
유 교수는 "문제는 시청률 누락이라는 것은 한 방송사를 없앨 수도 있을 정도로 강력하다는 점"이라며 "그래서 데이터 융합이 중요 화두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실제 닐슨도 올 4분기부터 수 십년간 TV 산업의 표준이었던 독립형 패널 기반 TV 시청률 시스템을 중단한다.
대부분의 시청자가 스트리밍으로 이동하면서 기존 방식의 TV 시청률이 시청자들의 행태를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신 패널조사와 플랫폼 사업자에 받은 시청자 데이터를 합산해 분석하는 '빅데이터+패널' 조사 방식을 통해 변화를 꾀한다.
유 교수는 "이미 중국과 일본도 미디어 데이터 인·검증에 뛰어든 상황"이라며 "한국도 늦긴 했지만, 이제라도 빨리 시작하는 것이 좋겠다"고 제언했다.
이를 위해선 관련 용어와 데이터, 기준 등을 통일해야 한다. 유 교수는 "채널과 광고주, 정부 관련 기관 등 이해관계자 간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같은 협력이 지속되려면 정부나 공공기관이 중재자 역할을 맡아 업계 조율을 지원해야 한다고도 제안했다.
성윤택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코바코) 박사도 컨트롤타워가 될 수 있는 전담기구를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성 박사는 "우리나라는 누구보다 빨리 통합시청률에 관심을 가졌지만, 스타트가 느린 상황"이라며 "공공이 주도해서 판을 깔고 민관이 협력하는 방식으로 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flyhighrom@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