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안전한 통신 서비스 기반 강화…인프라 종합 정비 추진
이동통신 무선국 환경친화 정비협의회 개최
- 나연준 기자
(서울=뉴스1) 나연준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부터 총 1만 5000개의 무선국소(1개 이상의 무선국이 설치된 특정 장소)를 정비하는 '이동통신 무선국 환경친화 정비사업' 2단계(2025년~2028년)를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과기부는 이날 '이동통신 무선국 환경친화 정비협의회'를 개최하고 무선국 환경친화 정비 성과 점검 및 중장기 추진방향을 논의하고 정비현장을 방문해 현장의 의견을 청취했다.
과기부는 2단계 사업을 통해 환경친화 정비와 더불어 지진, 집중호우, 풍수, 대설·한파 등 재난 피해 예방을 위한 실효적 현장점검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나아가 안전점검을 병행해대국민 통신 서비스의 안전성을 한층 더 강화할 방침이다.
과기부는 2021년부터 이동통신 3사,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등과 함께 '이동통신 무선국 환경친화 정비사업'을 추진해 왔다. 1단계(2021년 7월~2024년 12월) 사업을 진행한 결과 7041개 무선국소(약 9만 4000개 무선국)를 정비해 당초 계획의 100%를 달성했다.
과기부는 이달 초 발표한 유선 인프라 정비사업(2025년도 공중케이블 정비계획)에 따라 올해 51개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355개 정비구역의 전주 15만 3673본(한전주 11만 2653본, 통신주 4만 1020본)의 정비도 추진한다.
류제명 과기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방송통신사업자들과 긴밀하게 협력해 유·무선 통신환경 정비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깨끗하고 안전한 통신환경을 조성하겠다"며 "국민의 일상이 안심되고 풍요로워질 수 있도록 최접점 정비현장에서부터 정책 개발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yjra@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