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산불·해양쓰레기 분석" 행정 혁신하는 위성정보…실무자 교육

우주청 위성정보활용협의체 교육…국방부·환경부·경찰청 등 참여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미국 해양대기청 환경위성자료정보센터(NOAA/NESDIS)가 촬영한 태풍 '만이'가 필리핀에 상륙하는 모습. 24.11.17 ⓒ AFP=뉴스1 ⓒ News1 김예슬 기자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우주항공청은 이달 19일부터 20일까지 대전에서 '2025년 위성정보활용협의체 소속기관 실무자 교육'을 실시했다. 공공행정 서비스에 위성 정보를 확대 적용하려는 목적이다.

위성정보활용협의체(이하 협의체)는 2013년 출범했으며, 현재 40여개 중앙부처(소속기관 포함) 및 지자체가 참여하고 있다. 이번 교육의 경우 외교부·국방부·환경부·경찰청·해양경찰청·통계청·국립재난안전연구원·국립환경과학원 등 20개 기관의 실무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협의체가 주관하는 위성정보 서비스 플랫폼의 사용법을 배웠다. 이 밖에도 △위성 원격탐사 개요 △인공위성 및 센서의 이해 △전자기파 복사 원리 △다중분광·열적외선·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시스템과 위성영상 활용 분야 및 사례 등 내용의 교육도 진행됐다.

한편 협의체를 통해 지난해 약 1만 8000장의 국가 위성정보가 공공 부문에 제공됐다. 해양쓰레기 탐지, 재난위험 추이 분석 등 행정 서비스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창헌 우주청 우주항공산업국장은 "2030년까지 60~70기의 국가 위성이 운영될 예정이다. 위성정보의 통합 활용과 공공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실무자의 분석 역량 강화가 중요해졌다"며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한국항공우주연구원)와 함께 협의체 소속 기관의 수요에 부합하는 교육을 지속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legomaster@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