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민단체 "부산시 명절 종합대책, 지속 가능성 필요"
- 장광일 기자

(부산=뉴스1) 장광일 기자 = 부산시가 최근 발표한 설 명절 종합대책이 매년 반복되는 단기적, 일회성 대책이라는 부산시민단체의 지적이 제기됐다.
부산시민단체 사회복지연대는 22일 '2024년 추석명절 종합대책과 2025년 설 연휴 종합대책 비교평가'를 발표했다.
앞서 시는 경제·복지·관광·안전·의료 등 7대 분야 79개 세부과제를 담은 '설 명절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세부내용으로는 △연휴 기간 종합상황 근무 △정책금융자금 마련, 온누리상품권 할인 등 민생경제 대책 △복지사각지대 5만5000세대 대상 복지 지원 △일부 유료도로 무료화 등 교통 인프라 대책 △시티투어 할인 등 문화관광 대책 △의료기관 확대 운영 △대규모 행사, 먹거리 안전 점검 등 시민안전대책 등이다.
단체는 "지난 추석에는 7대 분야 73개 추진과제가 있었다"며 "이번에는 추진 과제 수가 늘었으나 기존 과제를 약간 확장하거나 명목만 새롭게 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또 "민생경제 대책 정책금융자금 규모는 지난해 추석의 2조 115억 원보다 8285억 원 줄었다"며 "복지 사각지대 지원의 경우 추석 기준 5만7000세대에 31억 원 지원에서 5만5000세대에 32억 지원으로 예산은 증가했으나 물가를 고려할 때 미흡한 수준"이라고 했다.
이어 "이번 대책은 민생 안정에 총력을 다하겠다는 시의 주장과는 다소 거리가 있으며 매년 반복되고 있는 단기적, 일회성 대책이 많다"며 "실질 생활비를 고려한 지원금과 복지사각지대에 대한 식품 바우처, 난방비, 의료비 등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실질적 생활 지원과 경제 활성화를 위한 종합대책을 위해선 지속 가능성이 있는 장기적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ilryo1@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