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환경단체 "황강 하천정비공사, 4대강 판박이…중단해야"
"하도정비, 수목제거로 하천 생태계 파괴"
- 박민석 기자
(경남=뉴스1) 박민석 기자 = 경남 환경단체가 환경당국에 합천 황강에서 이뤄지는 하천 정비 공사로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다며 중단을 촉구했다.
낙동강네트워크, 창녕환경운동연합,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은 20일 낙동강유역환경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낙동강청은 황강 하천 정비로 이뤄지는 모래 반출을 중단하고 사업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낙동강청은 지난해 10월부터 황강 용주지구와 청덕지구에서 하도 정비, 수목제거, 물길·친수공간·낙차공 조성 등 하천정비공사를 벌이고 있다"며 "이 중 하도 정비와 수목제거 사업은 황강의 중요 하천 생태계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계획돼 진행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난 14일 방문한 황강 청덕교 상·하류는 흙탕물로 가득했고, 청덕교 하류 맑은 모래톱에서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흰수마자 서식지까지 뒤덮였다"며 "낙동강 합류점에서 황강 상류까지 구간은 하도의 수목을 제거하고 퇴적토를 준설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같은 방식은 15년 전 벌어진 낙동강 4대강 사업의 판박이"라며 "댐으로 흐름을 막고 강의 모래를 파낸 낙동강에서 벌인 4대강 사업은 여름이면 독성 물질을 품은 녹조로 낙동강을 뒤덮이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단체는 "황강 하천 정비 공사 구간에서 이뤄지는 모래 채취는 골재 판매로 이어지고 있다"며 "황강의 모래는 낙동강에 4대강 사업으로 사라진 모래를 다시 공급하고 수생태계를 복원시키는 중요한 원동력"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낙동강청은 황강 하천 정비 공사를 중단하고 생태보전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며 "낙동강 생태 복원을 위해 황강 준설도 멈춰야 한다"고 촉구했다.
pms7100@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