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대구권 의대생들, 복귀 시한 다가오는데…복귀율은 미미

의총협 긴급회의…휴학계 반려하고 유급·제적 학칙 엄격 적용

정부의 내년도 의대 정원 동결에도 불구하고 의대생들의 집단행동이 계속되는 가운데, 연세대에 이어 서울대와 고려대 의대도 미복귀 학생에 대한 제적 또는 유급 처리를 시사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2025.3.12/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대구=뉴스1) 남승렬 기자 = 정부가 내년도 의과대학 정원을 증원 이전으로 되돌리겠다고 밝혔지만 대구권 의대생 대부분이 복귀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정부는 이달 말까지 의대생 복귀를 조건으로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으로 되돌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19일 경북대에 따르면 허영우 경북대 총장은 지난 13일 의대생들에게 가정통신문을 발송했다.

경북대는 가정통신문에서 "지난해 2학기 말(2025년 2월 28일)로 휴학 기간이 종료된 사람은 오는 21일까지 복학 신청을 해야 한다"며 "질병, 육아, 입대로 별도 휴학 신청을 하지 않을 경우 학칙에 따라 제적 처리된다"고 통보했다.

경북대가 학칙에 따라 정한 복귀 마감 시한인 21일은 수업주수 4분의 1선을 1주일 앞둔 시점이다.

경북대는 총장 명의 가정통신문을 보낸 데 이어 의대학장과 부학장 등이 학생 대표들과 최근 만나기도 했지만, 복귀를 위한 합의점을 찾지는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북대 관계자는 "의대 측이 가정통신문에 밝힌 복귀 시한까지 최대한 의대생들을 만나 설득하고 의대 수업이 정상화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영남대 의대 역시 최근 학생들에게 보낸 메시지나 상담 등을 통해 수업 복귀를 독려하고 있지만 복귀율은 미미한 것으로 알려졌다.

계명대와 대구가톨릭대 등 다른 의대 역시 상황도 비슷한 것으로 전해졌다.

의대가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이날 오전 긴급회의를 열고 의대생 휴학계 처리 방에 대해 논의했다.

교육부와 대학이 이달 말까지 의대생들이 복귀하지 않을 경우 유급이나 제적 등 학칙에 따라 엄정하게 처리하겠다는 방침을 고수하는 가운데 의대 총장들은 집단 휴학은 불가하다는 점을 재차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pdnamsy@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