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대체차량 도입과 정부역할 방안 정책토론회 성료
정부·철도공사 간 대체차량 도입 5조 확보 협력 강조
- 박찬수 기자
(대전ㆍ충남=뉴스1) 박찬수 기자 = ‘기대수명이 얼마 남지 않은 KTX-1 대체차량 도입의 시급성과 이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정책토론회가 11일 오후 국회 세미나실에서 열렸다.
국토교통위원회 맹성규 위원장을 비롯해 윤영석, 문진석, 권영진, 손명수 의원이 공동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는 윤재옥, 나경원, 이인선 의원과 정부, 학계, 산업계 관계자가 참석했다.
발제를 맡은 이진우 KAIST 교수를 비롯한 참석자들은 국민 안전을 지키고 철도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운행한지 20년이 지난 KTX-1의 교체 절차를 시작해야 한다는 데 입을 모았다.
2004년 도입된 KTX-1 46편성은 2024년 10월 기준 전체 고속철도 여객 수송량의 약 73%를 차지하고 있다. 시속 300km 이상으로 달리는 고속열차는 제작 결정부터 실제 운행까지 약 10년가량 소요되는 점을 고려하면, 안정적 교통 서비스와 국민 이동권 보장을 위한 조속한 교체가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힘을 얻었다.
KTX-1 차량의 노후화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문제나 서비스 저하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고 국민이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철도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기반이 되며 나아가 지역 균형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와 함께 논의는 대체차량 도입 과정에서 재정적 부담을 줄이고 정부와 공공부문 간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데 집중됐다.
특히, KTX-1 대체차량 도입에 필요한 약 5조 원의 예산 확보에 대한 정부와 철도공사 간 재정적 협력이 강조됐다. 또, 해외사례를 참고해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도입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pcs4200@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