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6G 저궤도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사업 총괄
- 김종서 기자

(대전=뉴스1) 김종서 기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정부가 주도하는 6G 국제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사업 총괄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오는 2030년까지 저궤도 통신위성 2기와 지상국, 단말국으로 구성된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위성과 지상 간, 위성과 위성 간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위성과 지상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저궤도 위성통신 시범망을 개발할 예정이다.
ETRI는 총괄주관연구기관으로서 연구기관 간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해 대규모 시스템 개발 사업을 수행할 계획이다. 총괄책임은 이문식 ETRI 위성통신연구본부장이 이끈다.
KT, KT SA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주요 통신사도 총괄과제에 참여해 시스템 개발 초기부터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향후 상용화를 위한 기반을 다질 예정이다.
사업을 통해 ETRI는 △재생형 중계기 핵심기술 △탑재체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 △위성간 링크 기술 △고효율 위상배열 안테나 기술 등 세계적 수준의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특히 국제표준화단체 3GPP의 6G 비지상 네트워크(NTN) 표준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지상과 공중 통신을 아우르는 초공간 통신 시대의 초석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글로벌 시장은 스페이스X사가 주도하고 있으며 유텔샛원웹과 아마존 등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독자 기술 기반으로 서비스 간 호환성이 낮고 단말기 종속의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해 향후 ETRI가 국제표준 기술을 적용해 개발하는 6G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은 스마트폰처럼 사용자가 원하는 단말기 모델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성과 범용성을 높일 계획이다.
국내 위성통신 분야의 기술 자립, 글로벌 시장 기출 기반 마련, 국내 참여기업들의 우주검증이력 확보를 통한 국내 산업 경쟁력 강화 등도 도모할 수 있다고 ETRI는 설명했다.
방승찬 원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세계 최초의 6G 국제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검증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향후 국내 기술이 글로벌 통신 서비스 시장에 진출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우주항공청,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6G 국제표준 기반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jongseo12@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