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산림청, 산사태 대비 내달 15일까지 산불지역 279곳 응급복구

문자메시지서 알림톡으로 전환, 선제적 주민대피

이미라 산림청 차장이 14일 산사태방지 대책 발표를 하고 있다.(산림청 제공.재판매 및 DB금지)/뉴스1

(대전=뉴스1) 박찬수 기자 = 산림청이 여름철 산사태를 예방하기 위해 산불피해지역 중 2차피해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은 279개소에 대한 응급복구를 6월 15일 이전 완료할 계획이다.

산사태 발생 위험 예측정보의 제공 대상을 관계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총괄부서까지 확대한다.

산림청은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2025년 산사태방지 대책’을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올해 산사태방지 대책은 △2025년 영남지역 대형산불 피해지 집중관리 △위험정보 제공방식 개선을 통한 사전대피 강화 △장마철 등 위험시기 총력대응 △수요자 맞춤형 산사태 안전문화 확산 등에 중점을 둔다.

우선, 초대형 산불이 발생한 영남 산불피해지역을 집중관리 한다. 산불피해 상황을 반영해 산사태위험등급 및 피해영향 범위를 긴급조정하고 산사태정보시스템에 탑재한 가운데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대피소, 임시주거시설의 안전성 여부, 대피경로 등 대피체계를 선제적으로 정비했다.

산불피해지역에 대한 산사태 예측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해 과거 대형산불 사례 분석 등을 통하여, 산사태 발생위험을 1~48시간 전에 예측해 주는 예측모델도 긴급 조정해 위험정보가 누락되지 않도록 했다.

산불피해지역 중 민가로부터 100m 이내에 있는 지역 등 2차피해 우려가 있는 6466개소에 대해 긴급진단을 실시해 복구필요 대상지 615개소를 선정했다. 이 중 2차피해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은 279개소 대해서는 6월 15일 이전에 최우선으로 응급복구를 완료할 계획이다.

또 산사태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산사태 발생 위험 예측정보의 제공 대상을 급경사지(행정안전부), 도로비탈면(국토교통부) 등 위험사면을 관리하고 있는 관계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총괄부서까지 확대 재난대응 연계 체계를 강화했다. 또한, 제공방식을 기존 문자메시지에서 알림톡으로 전환, 데이터 처리능력을 향상시켜 더욱 신속하게 위험정보가 제공돼 선제적인 주민대피가 될 수 있도록 했다.

위험시기 재난관리자원을 총동원하여 총력대응체계를 가동한다. 산불재난특수진화대를 여름철 주민대피, 응급조치 등 산사태 대응에 투입해 현장대응을 강화하고, 신속한 주민대피를 위해 지방자치단체-경찰-소방-대피조력자(이·통장 등) 등이 협업한다. 위험지역 응급복구, 임시주거시설 제공 등을 위하여 산림조합, 한국산림복지진흥원 등 유관기관의 장비(굴착기 등) 및 숙소(산림치유원, 숲체원 등) 등을 총동원 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지역산림조합 등 간 재난관리자원 응원 업무협약을 적극 유도할 예정이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산불피해지역의 추가 피해가 없도록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태풍·집중호우 등 위험시기에 긴급재난 알림을 받으면 주저 없이 대피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산사태가 산불 피해 지역에서 발생할 위험이 '최대 200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주목받는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서 발표한 '2025년 산불 제대로 알기' 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 산불이 발생했던 전북 남원 지역을 5년 뒤 조사한 결과 산사태 발생 비율이 타지역에 비해 200배 이상 높았다.

또 지난 2000년에 발생한 동해안 산불 피해지를 시계열적 토사량 측정한 결과, 산불 발생 이후 2년이 지난 시점에서도 1275g/㎡ 이상 유출됐다. 일반 산림에 비해 3~4배 높은 수치다.

pcs4200@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