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KAIST 연구팀, 대화 어려운 자폐아동과 소통 돕는 AI 앱 개발

'액세스톡' 설명 이미지(KAIST 제공) /뉴스1
'액세스톡' 설명 이미지(KAIST 제공) /뉴스1

(대전=뉴스1) 김종서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산업디자인학과 홍화정 교수 연구팀이 네이버 인공지능(AI) 연구실(Lab), 도닥임 아동발달센터과 함께 자폐 아동과 부모 간 진정성 있는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AI 기반 소통도구 '액세스톡(AAcessTalk)'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연구는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국제학술대회 'ACM CHI 2025'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하며 사람 중심의 AI 접근 방식으로 주목받은 바 있다.

액세스톡은 말로 의사 표현이 어려운 최소 발화 자폐 아동(MVA)과 부모 사이 의미 있는 대화를 유도하기 위해 설계된 태블릿 기반의 AI 소통 시스템이다.

기존의 보완대체 의사소통(AAC) 도구들은 제한된 카드 소통만을 지원해 아동의 관심사나 미묘한 감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AI 기술을 통해 아동의 관심사와 상황 맥락을 반영한 개인화된 단어 카드를 실시간으로 추천하고 부모에게는 상황에 따른 구체적인 대화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설계했다.

아동의 소통 주도권을 강화하기 위한 기능도 탑재했다. 커다란 '대화 전환 버튼'을 통해 아동이 대화를 시작하거나 종료할 시점을 직접 결정할 수 있고 '엄마는요?'라는 질문 버튼을 눌러 부모의 생각을 먼저 물을 수 있다.

KAIST에 따르면 연구에 참여한 자폐아동들은 생애 처음으로 부모에게 질문을 하는 경험을 했고 부모들은 "처음으로 아이와 진짜 대화를 나누는 느낌이었다"고 평가했다.

한 양육자는 "아이가 예상치 못한 단어를 사용해 놀랐고 이를 통해 아이의 언어 능력을 더 깊이 이해하게 됐다"고 전했다.

홍 교수는 "아이들이 스스로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AI가 단순히 소통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뿐 아니라 가족의 진정한 연결과 이해를 촉진하는 도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신경 다양성을 존중하고 포용하는 사람 중심의 기술을 개발하고 특히 사회적 약자를 위한 실질적 기술 적용과 사용자 경험 기반의 연구를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jongseo12@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