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올 청년정책 의결…96개 사업 3346억원 투입
청년정책조정위, 시행계획 의결…일자리·주거·복지 등 역점
- 박준배 기자
(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광주시가 올해 총사업비 3346억 원을 들여 28개 부서에서 96개 청년 사업을 추진한다.
광주시는 20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열어 '2025년도 청년정책 시행계획안'을 심의·의결 했다.
올해 청년정책은 '청년이 꿈을 이루는 기회도시, 광주'를 비전으로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문화 △참여·권리 등 5개 분야, 96개 사업을 추진한다.
일자리 분야는 사업비 450억 원을 투입해 '청년 구직활동 수당', '청년 일경험드림 사업', '청년창업 특례 보증' 등 33개 청년 일자리 사업을 추진한다.
구직활동 기간이 길어지는 추세에 대비해 구직활동 수당을 1개월 더 늘려 50만 원씩 300만 원으로 확대한다.
일경험드림 사업은 청년 수요를 반영해 근무 기간을 기존 주 25시간 5개월과 신규 주 40시간 3개월로 나눠 운영한다. 참여사업장에서 청년을 채용하면 장려금을 지원하는 등 채용 연계를 강화한다.
주거 분야는 8개 사업에 1313억 원을 들여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청년 맞춤형 주택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등 주거 부담 경감 사업과 '상무지구 광주형 통합 공공임대주택 건립', '남도학숙 운영' 등 주거 공간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교육 분야는 24개 사업에 1238억 원을 투입해 교육혁신을 통한 지역 인재 양성과 지역 내 취업‧창업, 정착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를 구축한다.
'지역 정보통신기술(ICT) 이노베이션 스퀘어 조성', '광주 인공지능사관학교 운영', '소프트웨어(SW) 전문인재 양성' 등 미래산업 대비 전문인력 양성과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지원', '도시재생 전문인력 양성' 등 맞춤형 인재를 양성한다.
복지·문화 분야는 24개 사업에 326억 원을 투입한다. 지역 청년들이 장기근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광주형 청년 일자리 공제'를 500명으로 확대하고 '청년13통장', '청년드림은행'(재무상담소), '군복무청년 상해보험 지원'을 추진한다.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 청년층을 위해 34세까지인 K-패스보다 39세까지 30% 환급되는 '광주형 대중교통비 지원'(광주 G-패스)을 새롭게 시작한다. '문화콘텐츠 전문인력 양성' 등 청년 문화기반 조성 사업도 추진한다.
청년정책 과정과 지역의제 발굴에 참여를 보장하는 참여·권리 분야는 7개 사업에 19억원을 들여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청년위원회', '청년센터 운영' '청년정책통합플랫폼' 등을 운영한다.
강기정 시장은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취업과 결혼 등 이중고를 겪고 있는 청년들을 보면 항상 미안한 마음이 든다"며 "인공지능(AI)과 미래차를 중심으로 산업을 키우고 창업 성공률을 높여서 더 단단하고 더 따뜻한 정책으로 청년에게 힘이 되는 청년정책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nofatejb@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