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올해 민생경제 회복에 9800억원 투입
소비 촉진·기회 확대·부담 경감 사업 추진
'광주 방문의 해’ 운영 1800만 관광객 유치
- 박준배 기자
(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광주시가 올해 총사업비 9800억 원을 투입해 민생경제 회복과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광주시는 경기 불확실성과 내수경기 침체 등 민생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올해 신규 12개, 확대 38개, 지속 47개 등 총 97개 사업에 9800억 원을 투입한다고 23일 밝혔다.
소비와 투자를 확대해 경기 회복의 핵심 동력을 강화하고, 시민 생활 부담을 줄여 지역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전략적 대응이다.
시는 '소비 촉진', '부담 경감', '기회 확대'를 정책 방향으로 삼아 경제위기 극복에 매진한다.
광주 방문의 해 운영, 착한소비 캠페인, 광주상생카드 할인 발행, 광주 공공배달앱 확대, 지방재정 신속집행 등 소비의 그릇을 키우는 소비 촉진 정책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나선다.
광주 방문의 해는 1800만명의 방문객 유치를 목표로 문화·예술·스포츠 등 지역의 강점을 살린다.
신속 집행 대상 6조 8253억 원의 63%에 해당하는 4조 3000억 원을 올 상반기에 집중 집행한다.
시비 100억 원을 추가로 투입해 광주상생카드 10% 특별할인을 2월까지 연장한다.
시민 생활 안정을 위한 '부담 경감' 정책으로는 △광주형 대중교통비 지원(광주 G-패스) △출생가정 6000명 출생축하금 200만 원과 출생아 1인당 상생카드 50만 원 지원 △소상공인 육아 응원 패키지 지원 △광주다움 통합돌봄 △소상공인 특례 보증 자금·이자 지원 △중소기업 자금 지원 등을 추진한다.
광주시는 기업의 성장 기회 확대가 일자리 창출과 좋은 일자리 전환 등 더 많은 경제적 기회를 창출한다고 보고 미래 유망 신산업 육성, 창업기업 지원, 일자리 창출 지원을 강화한다.
2009년 빛그린국가산업단지 조성 이후 14년 만에 유치한 '100만평 미래 차 국가산단'은 현재 중앙정부에 국가전략사업을 신청한 상태이다.
창업기업 지원도 강화한다. 올해 5월 개관하는 빛고을창업스테이션은 110개 사 창업기업의 세계 진출과 액셀러레이팅 지원 등 창업기업 스케일업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운영한다. 창업 아이디어를 실제 사업화로 전환할 수 있도록 광주 전역을 혁신 기술의 시험 무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 50개 기업의 기술 검증과 성공적인 사업화를 지원한다.
공공부문 일자리를 확대해 9만여 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또 취약계층과 청년층의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서비스 종사자 처우 개선 등으로 보다 좋은 일자리 만들기에 앞장선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지역경제의 새로운 활로를 위해서는 각계각층의 협력과 지원이 절실하다"며 "그것이 민생경제 회복의 열쇠"라고 강조했다.
nofatejb@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